-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건설현장에서 안전·보건에 관한 지도·감독 업무를 수행하다 보니 ‘SNS 영상’을 통해 사건·사고 영상을 찾아보는 일이 중요한 일과가 되었다. 사고 영상들을 보면서 사건에서 출발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순간은 그리 길지 않다는 것에 주목하게 된다. 미리 대비하지 못하고 징후를 발견하지 못한 불안전 상태와 작업자가 일으키는 휴먼에러(인간공학적 설계, 제작, 검사, 설치 및 보전, 운전 및 조작, 취급 에러 등)로 인해 사고가 발생한다. 이론과 상관없이 현장 실증적 관점에서 작업자의 무지, 과신, 간과, 방심, 고의
인간공학
신봉섭 자문 위원
2024.03.10 00:00
-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 업무는 보건관리자의 다양한 업무 중 어렵고 까다로운 업무 중 하나이다.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업무는 조사에 따른 업무개선을 중심으로 수행되어야 하지만 조사 자체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정확한 방법으로 조사를 해야 하지만, 정보가 부족하고 교육이 많지 않은 현실에서 형식상 서류 작성으로 마무리되어지는 사례가 빈번하다. 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 예방위해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의 올바른 시행시기는 언제이며 법률적으로 어떻게 명시되어 있는지, 주의사항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근골격계
인간공학
추철웅 자문 위원
2022.04.25 11:01
-
일터에서 사고예방을 위한Human Error 원인 들여다 보기(22) 에러 감소 프레임 경로(Sequence to error reduction framework) 구성 사례- 계획(Plan) 단계에서는 TWIN 기법(업무요구도, 근무환경, 개인 역량, 인간본성) 적용- 준비(Prepare) 단계에서는 SAFER 기법(문제공정 요약, 에러함정 개입, 잠재결과 예측, 방어수단 평가, 경험공유)- 실행(Perform) 단계에서는 STAR 기법(stop, think, act, review) 적용 CORMORANT alpha platform
인간공학
차상은 자문 위원
2021.12.15 00:03
-
1) 수공구 디자인 특성▶ 수공구 선택 요구조건(NIOSH workshop, 1994) - 작업수행 극대화(전용 공구 사용) - 업무특성 향상(업무 효율, 용이성 충족) - 사용 편리성 극대화(생산 효율, 인체공학 디자인) - 신체접촉 스트레스 최소화(신체부담 경감, 질환 예방) - 작업자의 피로 예방(수공구 작업자 만족) ▶ 수공구 사용 관련 상지 부위 다발하는 질환 종류 - 수근관증후군(CTS, Carpal tunnel syndrome) 손의 수근관을 관통하는 건막(tendon sheath)의 염증과 섬유화로 손목에 있는 정중
인간공학
차상은 자문 위원
2021.12.13 01:19
-
일터에서 사고예방을 위한Human Error 원인 들여다 보기(21)휴먼에러 예방을 위한 7단계 (HSE, UK)*1. 현장의 주요 위험요인 파악 2. 위험요인 관련 작업 공정과 업무수행 조건 파악 3. 작업 공정과 조건 수행 순서/단계 파악, 근로자 의견청취 중요 4. 각 단계별 발생 가능한 잠재적 인적 오류 파악 5. 작업 수행도 형성 요인들(PIF) 파악 6. 인적 오류에 대한 체계적 대응방안 사용 7. 작업자를 인적 오류 예방의 최후 수단은 위험(자동화 위험 양산 우려) 오류를 회복, 복구할 수 있도록 조치 행동 관리(beh
인간공학
차상은 자문 위원
2021.12.05 20:04
-
사고유형(simple accident)과 연쇄 사건 방법론사고 유발 가능한 위험요소에 결함(위반) 요소 관리 부재는 곧 사고로 이어지며, 사고 대상(불안전한 상태, 불안전한 행동) 조건에서도 결함 요소 관리 부재는 곧 사고로 이어진다. 연쇄 사건 방법론(event chain methodology)에 따르면 프로젝트 일정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사건 및 사건 간의 관계(연쇄 사건)를 식별하고 관리하는 데 초점을 맞춘 네트워크 분석 기술이다. 불확실성 모델링 등의 일정 기법(schedule technique)으로 활용된다. 연쇄 사건
인간공학
차상은 자문 위원
2021.11.26 15:16
-
피봇 방법론을 린스타트업을 통해 전파한 에릭 리스(Eric Ries)가 설명하는 피봇의 종류 10가지 방안들 중에서 'Engine of Growth Pivot' 과 'Channel Pivot' , 'Value Capture Pivot' 을 안전보건 전략 수립과 전술에 응용한 사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Engine of Growth Pivot바이럴화에 의한 성장, 유료 성장, 그리고 재방문에 의한 성장은 스타트업의 성장에 크게 기여하는 요소들이다. 기업이 어떤 방식으로 성장 하려하는지에 대한 피봇(pivot) 방법이다. 이 요
인간공학
차상은 자문 위원
2021.11.08 17:40
-
피봇 방법론을 린스타트업을 통해 전파한 에릭 리스(Eric Ries)가 설명하는 피봇의 종류 10가지 방안들 중에서 'Platform Pivot' 과 'Business Architecture Pivot' , 'Value Capture Pivot' 을 안전보건 전략 수립과 전술에 응용한 사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Platform Pivot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던 회사가 그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될 플랫폼을 개발하기 시작하거나 아니면 반대로 플랫폼을 개발하던 회사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게 되는 경우다. 일반적으로 자사 플랫폼에서 구동되
인간공학
차상은 자문 위원
2021.11.01 15:50
-
지난 시간에 이어서 피봇 방법론을 린스타트업을 통해 전파한 에릭 리스(Eric Ries)가 설명하는 피봇의 종류 10가지 방안들 중에서 'Customer-Segmentation Pivot' 과 'Customer-Needs Pivot' 을 안전보건 전략 수립과 전술에 응용한 사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Customer-Segmentation Pivot 스타트업의 고객군(customer segment)를 수정하는 것이다. 바나나 리퍼블릭과 갭이 목표로 하는 고객군이 다르고 벤츠와 현대자동차가 지향하는 고객군이 다르듯이 같은 업계라도
인간공학
차상은 자문 위원
2021.10.28 15:46
-
지난 시간에 이어 Pivot 경영전략 관점의 산재 사고 감소 방안중에서 피봇 방법론을 린스타트업을 통해 전파한 에릭 리스(Eric Ries)가 설명하는 '피봇의 종류 10가지 방안들' 중에서 'Zoom-In Pivot' 과 'Zoom-Out Pivot' 을 안전보건 전략 수립과 전술에 응용한 사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Zoom-In Pivot이전 모델/전략에서 제품의 극히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던 것을 전체 제품의 핵심으로 수정하는 방법이다. 린스타트업을 운영하다 보면, 다시 말해 MVP(minimal viable produc
인간공학
차상은 자문 위원
2021.10.25 15:44
-
최근 2년간 COVD-19 관련 팬데믹으로 당장 내일도 예측하기 어려운 세계 경영 환경 속에서 경영 매거진 ‘DBR’에서 읽은 Pivot 경영전략에 대한 호기심과 전략을 탐독하고, 이를 산업재해 감소전략으로 응용하기 위한 산업보건, 인체공학 및 휴먼 에러를 공부하는 엔지니어 시각에서 그리고 위험성평가의 안전성 관점에서 한번 검토해 보고자 한다.Pivot은 경영학 논점에서 ‘방향전환’의 의미를 가지며, Lean-startup 방법론에서 처음 등장한 용어라고 한다. 스티브 블랭크 교수(스탬퍼드대 경영공학부)는 2003년 ‘고객 발견(d
인간공학
차상은 자문 위원
2021.10.12 14:45
-
인간행동 우수성(human performance excellence)의 5가지 원리① 인간은 실수할 수 있고(fallible) 비록 ‘최고 전문가’라도 실수를 한다. People are fallible, and even the best people make mistakes.② 에러 같은(실현성 큰) 상황 연출은 ‘예고’ 되며, 관리 가능하고, 예방할 수 있다. Error-likely situations are predictable, manageable, and preventable.③ 개인의 행동은 조직의 ‘업무수행 과정’과 ‘가치
인간공학
차상은 자문 위원
2021.09.03 11:40
-
1) 제어장치의 가이드라인 제어장치 구성요소는 ▲제어의 적합성, ▲적절한 부하로 조절, ▲제어 기능의 부호화, ▲라벨링(Labelling), ▲손 조작 기능, ▲발 조작 기능 등이 있다. 제어장치의 종류(전달 정보와 조작력에 의한 분류)는 아래와 같다.제어장치 설계 인자에는 ▲식별 용이도, ▲크기, ▲제어-응답비, ▲저항, ▲지연, ▲사역(死域), ▲헐거움, ▲위치 등이 있다. - 제어장치 식별도: 형태 코드법(형태 구분 식별), 촉감 코드법(표면 촉감 구분 식별), 크기 코드법(크기 구분 식별), 위치 코드법(자동차 브레이크 페달
인간공학
차상은 자문 위원
2021.08.25 17:18
-
▶ 업무수행 역량 관리 요소 업무수행 역량 관리 요소는 작업자의 이해도, 훈련 정도, 기술 숙련도, 정보 및 지식, 육체적/정신적 수행능력, 태도, 행태 등이 개인적인 역량을 좌우할 것이며, 여기에 업무수행 표준(권고기준 등)과 만나면 작업자가 수용 가능한 행동이 실행될 것이다. ▶ 성공적인 행동 안전 프로그램 촉진 요소와 장애요소▶ 좋은 행동(태)의 동기부여 메커니즘- 좋은 행동의 동기부여 근원은 정신적/육체적 건강 조건을 바탕으로 기술적인 숙련성과 비기술적 숙련성을 중심으로 하여 적극적인 자세(태도, 개입/행동 변화)에서 이루어
인간공학
차상은 자문 위원
2021.08.19 21:02
-
‘손잡이’ 하면 생각나는 것이 여럿 있다. 자동차 핸들과 기어 손잡이, 호미 등 수공구, 농기구 손잡이, 상가와 아파트 등의 출입문 손잡이 등등...손잡이에 대한 인체공학적 관점에서 좀더 편리하고, 좀더 안전하고, 좀더 힘 부하가 낮은 조건, 누구나 사용하기 좋은 조건 등을 고민한다.이번 주제에 맞추어 유니버설 디자인 측면에서 손잡이에 대한 “심심풀이 인체공학 포커싱”을 볼까 한다. 최근 '손잡이' 하면 국제적 인기를 누린 것이 있다. 바로 우리나라에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온, 필자도 성장기 시골에서 자라면서 우리 할머니의 필수 도구
인간공학
차상은 자문 위원
2021.06.24 16:37
-
휴먼에러 관련 인적 요소(human factors) (FAA, 자료 인용*)- 휴먼에러 관련 인적 요소(미국 항공산업 관련 자료 인용)는 크게 7가지 정도로 분류하였다. 주요 분류 항목으로 정신상태, 감정상태, 인적 수행능력과 인간 한계성, 육체적 조건(상태), 환경 조건,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등이다. 휴먼에러 관련 세분화된 인적 요소 (FAA, 자료 인용*)- 항공산업에서 중시되는 휴먼에러 관련 인적 요소(변수)로서 우선적으로 중심적인 역할로는 작업자 피로, 물질(약물 등) 남용, 지나친 소음, 용접흄(fume) 냄새, 미끄러운
인간공학
차상은 자문 위원
2021.06.06 19:40
-
들기 작업(Lift) 전 점검 사항*- 들기 전 호이스트, 리프트 등 기구 활용 방안 검토- 중량물 또는 들기 불편한 대상은 도움 요청(공동 작업)- 대상물의 무게 평가 및 확인(assess & identify)- 대상물 힘에 부치지 않게 들 수 있을 것인가?- 작업자, 자유롭게 대상물을 움직일 수 있는가?- 운반 지점까지 편하게(방해물 없이) 운반이 가능한가?- 운반 통로의 바닥상태(오일, 물, 쓰레기 등)가 전도 위험?- 인력 작업 대상물의 형태(물질)에 따라 취급 방법을 구분- 안전하게 취급할 수 없다면 인양하지 않는 것이 좋
인간공학
차상은 명예 전문가 위원
2021.05.04 15:09
-
코레일공항철도㈜ 공항철도선 계양역에서 검암역 방향으로 1,185m 지점, 제A3157호 전동 열차 사상 사고 사례 먼저 조사위원회의 조사결과(Findings)을 중심으로 다시 보면, 사고 경위는 2011년 12월 9일 사고 열차는 공항철도선 시발역인 ①서울역에서 0:00시에 출발하여 종착역인 검암역(도착 0:32 예정) 방향으로 운전하고 있었으며, ②기관사는 0시 29분경 계양역으로부터 검암역 방향으로 1,185m 지점에서 동절기 선로 동상 방지 작업 중인 코레일테크외 작업자들을 작업지점에서 약 155m 전방에서 발견하였고, ③사고
인간공학
차상은 명예 전문가 위원
2021.05.04 14:23
-
1) MMH 작업 허리 부상 요인 (40개의 연구논문 분석 결과*) • 중량물 취급 작업(heavy physical work) • 인양 또는 힘든 이동작업(lifting & forceful movements) • 허리 굽힘 및 비틈 등의 불편한 작업자세(bending & twisting - awkward postures) • 전신 진동 작업조건(whole-body vibration-WBV) • 정적 부하 작업자세(static work postures) 2) 들기 작업(Lift) 척추 근육 조건* 들기 작업과 관련된 요추부 생체역학에
인간공학
차상은 명예 전문가 위원
2021.04.27 17:04
-
한국철도공사 경부선 대구역 KTX 열차 충돌∙탈선 사례 먼저 조사위원회의 조사결과(Findings)을 중심으로 다시 보면, 제1차 사고는 무궁화 열차 기관사가 상행 출발 신호기 정지신호에서 다른 열차에게 현시된 진행 신호를 오인하고 무궁화열차를 출발시켜서 발생한 인적오류에 의한 사고로 발생되었고, 제1차 사고 발생 후, 상행 KTX 기관사, 로컬관제원 A, 관제사가 철도공사사규인 「운전취급규정 등」에 따라 열차 방호 등을 하여야 하였으나, 이를 이행하지 않았으며, 제2차 사고는 대구역 로컬관제원 A가 하행 장내신호기에 정지신호를 현
인간공학
차상은 명예 전문가 위원
2021.03.31 2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