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봇 방법론을 안전보건 전략 수립과 전술에 응용한 사례 (1)
지난 시간에 이어 Pivot 경영전략 관점의 산재 사고 감소 방안중에서 피봇 방법론을 린스타트업을 통해 전파한 에릭 리스(Eric Ries)가 설명하는 '피봇의 종류 10가지 방안들' 중에서 'Zoom-In Pivot' 과 'Zoom-Out Pivot' 을 안전보건 전략 수립과 전술에 응용한 사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Zoom-In Pivot
이전 모델/전략에서 제품의 극히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던 것을 전체 제품의 핵심으로 수정하는 방법이다. 린스타트업을 운영하다 보면, 다시 말해 MVP(minimal viable product, 최소기능제품)을 운영하다 보면 고객들이 그 MVP안에서도 매료된 특정 기능이나 부분을 발견 할 때가 있다. 그 부분을 핵심 주체로 전환하고 회사 전체의 사업 전략과 비즈니스 모델을 전면 수정하는 것이다.
-줌인 피봇 (pivot) 사례: 유튜브(YouTube)
유튜브는 첫 MVP를 비디오 데이트 사이트 형태로 출시했었다. 소비자들의 반응이 미미하자 유튜브의 창업자들은 제품의 기능 중 하나였던 영상 공유 모델을 제품의 핵심 모델로 채택하고 다시 개발을 시작했다.
산재 예방 전략과 전술 수립에 Zoom-In Pivot 방안 접근
제조 또는 건설 현장의 Human error을 줄이기 위한 전략과 전술의 수단으로 근로자의 불안전 행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BBS 개념을 도입하여 접목하는 방안이다. 근로자의 안전 행동과 안전 심리에 집중하는 것이다.
하인리히는 전체 7만 5천건의 사고를 분석하였는데, 그 사고들의 88%가 불안전 행동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았다. 나머지 10%는 불안전 상태에 원인이 있고, 2%만이 천재지변 등 기타 원인에 의한 것으로 보았다. 이후 또 다른 연구에서도 10년간 미국의 산업재해 원인을 조사한 결과, 전체 사고의 76%가 불안전 행동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불안전 행동과 상태가 동시에 원인으로 작용한 것까지 포함할 경우에는 산업재해 원인의 96%가 불안전 행동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국내 기업을 분석해 보더라도 이와 유사하게 사고의 90% 이상 이 불안전 행동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고를 예방하려면 근로자들의 안전 관련 행동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근로자의 안전 관련 행동을 변화시키는데 중점을 둔 행동 기반 안전관리(BBS, behavior-based safety) 접근법이 출현하였다.
BBS의 핵심 3요소는 사고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핵심 안전 행동을 파악하고, 사업장 고유의 관찰 체크리스트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또한 사고 발생시 심각성과 발생빈도 등을 고려하여 ‘핵심 행동 도출’이 첫번째이며, 다음은 일터의 관찰을 통한 안전 행동과 조건 관련 자료의 수집, 자발적 관찰 참여와 배려 그리고 관찰 참여자 수 및 관찰 횟수 기록을 통한 자료 구축과 관찰된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한 ‘관찰 및 자료 수집’ 단계이며, 마지막으로 관찰 참여 및 작업 중 안전 행동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 제공과 안전 행동 증가에 따른 안전 목표 달성에 대한 인정 및 보상 등의 제공을 통한 ‘피드백 인정 및 축하’ 단계로 구분한다.
사고의 주요 원인이 불안전 행동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이 근본 원인의 해결, 즉 불안전 행동을 안전 행동으로 변화시키는 데에 초점을 맞추는 방식이 BBS 프로그램이
다. 우리가 근로자의 불안전 행동을 안전 행동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면, 사고는 당연히 줄어들 것이다. 그렇다고 BBS만이 유일한 산업재해 예방책이라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각 기업의 사정과 상황에 맞는 적절한 방식이 가장 좋은 예방책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전략의 사례로 ABC Model*을 제안하고 싶다.
ABC분석의 기능은 사업장에서 가장 다루기 어려운 안전문제를 이해하는 것이다. 응용행동분석의 기본 도구로 행동을 유발하는 매우 강력한 자극전제조건은 그 자체만으로 어떤 행동을 직접적으로 결정하도록 만들지는 못한다. 전제조건은 예상되는 결과와 함께 어떤 행동을 이끌어낸다. 어떤 전제조건 및 결과가 특정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이 ABC분석의 목적이다.
Zoom-Out Pivot
쉽게 말해 큰 그림을 보는 것이다. 여태껏 스타트업이 만들어 오던 제품이 더 큰 제품의 한 기능이 되는 것이다.
- 줌 아웃 피봇 (pivot) 사례: 옐프(Yelp!)
미국의 식당/카페 및 로컬 비즈니스 리뷰 사이트인 옐프는 원래 유저들끼리 이메일로 식당이나 카페같은 곳을 추천하고 받을 수 있게끔 하는 서비스였다. 옐프 스타트업 팀은 이 기능을 더 큰 그림인 “로컬 비즈니스 리뷰 사이트”의 기능 중 하나로 수정하고 만들었다.
- 산재 예방 전략과 전술 수립에 Zoom-Out Pivot 방안 접근
사고 발생 관련 큰 그림으로 사고 발생 전과정과 부가적 요인에 대한 방안으로 몇 가지를 지적하고 싶다. 소위 유명한 안전사고 발생 모델인 Swiss Cheese Model, Fish-Bone Model, Bow-Tie Model, HFACS 등이다. 이 외에도 Zoom-Out Pivot에 부합하는 모델은 많이 있지만 지면 관계상 간략하게 서술하고자 한다.
•Swiss Cheese Model
사고 발생 관련 원인 제공/인자(triggers)에 대하여 각 단계별 방어벽(layer)이 존재하고 그 방어벽에 노출된 여러 문제점들이 상존하면 방어벽을 통과하여 다음 단계로 진출하여 최종 사고가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모델이다
•Fish-Bone Model(Diagram)
어류 뼈 모양의 사고 결과에 대한 주요 항목별 상호 연계된 원인 인자 추정 모델이다.
•Bow-Tie Model
사고 발생 관련 사고 발생 전 여러가지 위협 요소와 방어 수단 시나리오 그리고 사고 발생 후 사고 결과 및 후유증 최소화를 위한 단계별 전략과 요소들에 대한 시나리오 표현 모델이다.
•HFACS
HFACS*는 스위스 치즈 모델을 기초로 미국 해군이 300 여건의 비행 사고를 분석하여 개발하였으며, 사고 요인 분석을 4개 영역(조직의 문제, 감독의 문제, 불안전행위의 유발 조건, 작업자의 불안전 행위)로 구분하여 불안전요인을 추출하는 분류 체계이다.
※ 다음편에서는 피봇의 종류 10가지 방안들 중에서 'Customer-Segmentation Pivot' 에 대해 소개될 예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