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간 30명 이상 '사다리 중대재해'로 사망 ,, 최근 5년간 중대재해자 200명 넘어
- 사다리 사용 시 반드시 턱끈 포함하여 안전모 철저 착용, 2미터 이상에서는안전대도 착용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최근 5년 간 산업현장에서 사다리 작업 중 발생한 중대재해자가 200명을 넘어섰다. 사다리에서 작업하던 중 추락하여 사망한 사고는 대부분 1~2m 내외의 높이에서의 추락이었다. 이에 고용노동부는 지난 10일 올해 제1차 현장점검의 날을 맞아 '추락' 사고유형 중 '사다리' 위험요인을 집중적으로 확인하고, 안전수칙 준수를 강조했다.
이번 새해 첫날인 1일부터 A자형 사다리 위에서 크리스마스 트리 장식 제거 중 1m 아래 바닥으로 떨어져 사망한 사고가 발생했다. 또 지난 3일에도 A자형 사다리 위에서 소방배관 설치 작업 중이던 B씨가 1.8m 아래 바닥으로 떨어져 숨졌다.
사다리 작업시 추락사고의 주요 원인은 주로 사다리에서 발을 헛디디거나 사다리 자체가 파손·미끄러지는 경우로 나타났다. 턱끈을 포함해 안전모만 잘 착용했어도 사망사고를 막을수 있었던 만큼 안전수칙 준수가 강조되고 있다.
고용부는 지난 10일 현장점검의 날을 맞아 3대 사고유형 8대 위험요인을 점검하면서, 특히 '추락' 사고유형 중 '사다리' 위험요인을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이동식 사다리의 주요 안전수칙을 안내했다.
이동식 사다리를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턱끈을 포함하여 안전모를 철저히 착용해야 한다. 이외에도 작업 전에는 평탄‧견고하고 미끄럼이 없는 바닥에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사다리를 지지하게 하는 등 미끄럼‧넘어짐 방지조치를 해야 한다.
또한, 작업 시에는 2미터 이상에서는 반드시 안전대를 착용해야 하며, 사다리의 최상부 발판 및 그 하단 디딤대에서의 작업은 금지된다. 다만 이동식 사다리 작업은 작업발판 또는 추락 방호망을 설치하기 곤란한 경우에 한해 3.5미터 이하의 A자형 사다리에서 작업이 가능하다.
류경희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사다리 작업은 간단한 작업이라고 인식하고 안전수칙을 경시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연간 30여 명 이상이 사다리로 인해 사망하고 있다. 아무리 간단한 작업이어도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라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 사다리 작업 중 '1.4m' 높이에서 추락사고,, 외벽 타일 교체하던 창원 70대 노동자 사망
- 고용노동부, 추락 사고 예방 위해 '추락 사망사고 위기경보' 발령
- 송전탑 상부서 작업 중 추락으로 중대재해 발생,,, 원인 및 예방책은?
- 사고발생시 투입비용만 49000달러인 '미끄러짐 및 추락'사고,, 적정한 안전화 착용의 중요성
- 끊임없이 발생하는 '이동식 비계' 추락 사고,,, 해결 방안은 ?
- 연중 재해발생 높은 7월,, 올해도 중대재해 40건 이상 발생, 사고유형 1위는 '떨어짐'
- 고소 작업 시의 인적 요인, 위험 속 안전을 확보하는 방법은?
- 2m이하 사다리작업 중 사망재해 발생,,, 명확한 안전보호구 지급기준 필요
- 'K-사다리' 개발 완료,,, 사다리로 인한 사고 발생 예방 가능할까?
- 단지 착용만으로 안전을 확보할 수 없다? 꼭 알아야 할 안전대의 올바른 활용법
- 새해 보름새 추락사고 6건 발생, 전년 대비 2배 증가,, 전국 건설현장 '추락사고 다발 경보' 발령
- 연이은 겨울철 한파,, 추운날 더 자주 발생하는 산재사고 유형이 있다?
- '30cm' 높이서 떨어져 발생한 사망사고,, 낮은 높이도 '안전모' 착용 강조
- 연이은 A형 사다리 추락 사고, 재해 예방위해 집중관리해야 할 2가지는 무엇?
- 지난해 중대재해 원인 중 42%가 '떨어짐',, 고용부, 떨어짐 사고 다발 '경보’ 발령
- 안일함으로 인한 추락사고... 미국의 안전 대응 사례 살펴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