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노동부, 3대 사고유형ㆍ8대 위험요인과 강추위로 인한 한랭질환 예방수칙 준수 여부 점검
- 급격한 한파에 넘어짐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 작업 전 안전점검 회의(Tool Box Meeting)시행 및 한랭질환 예방수칙 준수 강조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사장 안종주)은 1월 24일 2024년 제2차 현장점검의 날을 맞이하여 3대 사고유형 8대 위험요인과 강추위로 인한 한랭질환 예방수칙준수 여부를 점검한다고 밝혔다.
중대재해의 62.6%를 차지하는 3대 사고 유형ㆍ8대 위험요인은 ▲(추락) 비계, 지붕, 사다리, 고소작업대, ▲(끼임) 방호장치, 정비 중 운전정지(Lock Out, Tag Out), ▲(부딪힘) 혼재작업, 충돌방지장치로 특별관리가 필요하다.
최근 날씨가 급격히 추워지면서 떨어짐, 넘어짐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욱 크다. 눈, 비가 얼어 계단과 바닥 등이 미끄러워지고, 추위로 일을 급하게 처리하거나, 안전수칙 준수를 소홀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5년간 1~2월에 떨어짐 사고로 195명이 사망했고, 넘어짐 사고로 9,542명이 다쳤다.
한파에 취약한 건설현장과 서비스업 등 옥외작업이 많은 사업장에서는 3대 사고유형과 한랭질환 발생 가능성이 큰 만큼 노사가 함께 작업현장과 이동공간에 대한 위험성평가 결과를 토대로 작업 전 안전점검 회의(Tool Box Meeting)를 반드시 시행하고, 이를 통해 확인된 위험요인을 즉시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한파로 인해 ▲ 따뜻한 옷, ▲따뜻한 물, ▲따뜻한 장소, ▲추운 시간대 옥외작업 최소화 등 한랭질환 예방수칙 준수가 중요하다.
류경희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고 작업할 만큼 중요하고 시급한 작업은 없다”라고 하면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서는 사업장에 자기규율 예방체계가 제대로 이행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새해 보름새 추락사고 6건 발생, 전년 대비 2배 증가,, 전국 건설현장 '추락사고 다발 경보' 발령
- 연이은 한파속 옥외 작업자 건강장해 예방수칙 강조,, 반드시 알아야 할 주요 안전수칙은?
- 단지 착용만으로 안전을 확보할 수 없다? 꼭 알아야 할 안전대의 올바른 활용법
- 최근 5년간 사다리 작업 중 1~2m 높이서 200명이상 추락사,, '사다리 위험요인' 집중 점검 실시
- “지붕추락위험” 이제 "드론"으로 한 눈에 확인하세요
- 급격히 추워진 날씨에 주의해야 할 '한랭 질환', 특히 조심해야 할 사람은 누구?
- 시저형 고소작업대 '넘어짐'사고 발생,,, 사고예방 위한 안전수칙은?
- 물류창고 공사현장서 발생한 고소작업대 탑승중 구조물에 '끼임' 사고
- 겨울철 한파가 온다,,, 건설업·위생업 등 옥외작업 근로자의 한랭질환 예방수칙은?
- 혹한 속, 옥외근무자의 한랭질환예방을 위한 실제적 대책 마련 필요
- Back to Basics 15부 - 알래스카 산업안전보건(AKOSH) 부서가 알려주는 겨울철 사고위험 대책
- 얼었던 땅 녹으며 지반붕괴 위험도↑ '해빙기' 안전사고 주의보 발령
- 소방청, 겨울철 긴급구조 대책’ 시행… 대설·한파 대비해 '현장 출동 여건' 등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