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고용노동부 산하 안전보건공단(이사장 안종주, 이하 ‘공단’)이 국내 산업현장에 화학사고 예방문화를 확산하고, 기업의 자기규율 예방체계 확립에 기여하기 위해 지난 1일 ‘화학사고 사례연구(2023)’ 자료를 배포했다.
「화학사고 사례연구(2023)」 자료 주요 화학사고의 발생과정 및 관련 설비‧물질 정보, 사고원인과 사고예방 대책을 제시하여 유사사고 방지에 활용하도록 하기 위해제작됐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최근 2021년 7월부터 2022년 12월까지의 주요 화학사고 중 7종인 ▲도료(유기용제) 건조로 화재사고 ▲LPG탱크로리 가스누출 화재사고 ▲수처리제 제조공정 염산 누출사고 ▲저장탱크 상부 배관 설치작업 중 화재‧폭발 사고 ▲RTO 비정상 정지 후 폭발사고 ▲배관 드레인 작업 중 납사 누출 및 화재사고 ▲회분식 반응기 이상반응에 의한 화재‧폭발사고 등을 선정, 사고 발생과정 및 관련 설비‧물질 정보, 사고원인과 예방 대책을 제시하고 있고, 화재‧폭발 및 누출사고 예방을 위한 주요 확인 사항과 교훈으로 구성됐다.
이번에 게시된 사례집은 기존 사례연구집과 다르게 개별 사고원인만을 분석하는 형태가 아니라, 화재‧폭발 현상에 대한 설명은 물론, 아래와 같이 현행 산업안전보건법 체계에서 화학설비를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세부 설명까지 포함했다.
안전보건공단에서는 이를 통해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의 안전관리 시야를 넓힘과 동시에 자기규율 예방체계 확립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안전보건공단의 안종주 이사장은 “사례연구집을 통해 화학사고의 예방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보를 사업장에 전파하게 되어 뜻깊게 생각한다”라면서 “화학사고 예방 및 산재 감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뜻을 밝혔다.
관련기사
- 화학 사고의 주범을 꼽히는 3가지 화학물질 ... 특징과 위험관리 계획에 대하여
- 군산에서 올해만 7번째 화학물질 누출 사고 발생,,, 화학물질 취급 관련 법령과 관리방안은?
- 미국 화학안전위원회가 발표한 치명적 화학물질 누출 사고사례
- 창원시, 화학사고 피해 저감을 위한 시스템구축 사업 돌입
- 지난해 화학사고 인명피해↑ .. 화학물질 사용자의 화재대응 능력 향상 필요
- 고용노동부, '중대재해 사고백서' 최초 발간.. 사례별 전문가 제언·국내외 유사 사례 수록
- 안전보건공단, 산업단지 재해예방 위한 특별 점검 실시,, '입주사' 안전강화 집중
- 소방청‧고용노동부, 'GHS 정보' 통일했다,, 화학물질 정보제공 시스템 신뢰성 강화
- 고용노동부, 화학산업단지 현장 간담회 개최,, 안전밸브 작동검사 및 공정안전관리(PSM)제도 개선 논의
- 미국, 과불화화합물 PFAS과 관련된 소송 증가... 원인과 피해 현황은?
- 국립소방연구원, 화학사고의 효율적인 대응‧복구 위해 '제독제 신뢰성' 평가 실시
- 1분기 '신규화학물질 71종' 공표,, 급성독성 · 발암성 · 생식독성 확인된 27종 물질은 무엇?
- '화학사고' 신속 ·정확 초동 조치 돕는다 ,, '화학사고 현장 대응 물질 정보집' 배포
- 대한민국을 뒤흔든 대형재난사고 8부 – 구미 불산 누출사고
- 5년간 주요 화재·폭발 사례 담은 「화학사고 사례집」 발간,, 현장 적용 가능한 안전수칙 수록
- 입동 지나 찾아온 추위,, 겨울철 화재 막는 전기·전열기구 안전수칙은?
- 울산 산단, '화학사고 공동방재지원체계' 구축 ... 화학물질 유·누출 사고 대응 속도 높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