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학특성 정보, 위험성, 대응방법 등 화학사고 발생 시 초동조치에 필요한 대응정보 수록
- ‘사고상황공유앱’ 통해 현장대응 물질정보 150종 실시간 제공 ,, 추후 900종까지 확대 예정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이 화학사고 발생 시 현장 대응에 필요한 특화된 대응정보를 담은 ‘화학사고 현장대응 물질정보집’을 소방, 지자체, 경찰 등 유관기관에 배포했다.
‘화학사고 현장대응 물질정보집’은 화학 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현장 대응과 안전조치를 위해 제공되는데, 이번 개정을 통해 물질정보 97종을 150종으로 확대해 제작됐다.
특히, 현장 대응요원의 의견을 반영하여 화학사고 발생 시 초동조치에 필요한 대응정보를 엄선하여 ▲화학특성 정보, ▲위험성, ▲대응방법, ▲개인보호구, ▲탐지장비, ▲대피거리, ▲허용노출기준, ▲인체유해성/응급조치 등도 소개했다.
물질정보 150종은 과거 10년 동안 국내에서 발생한 화학사고 물질을 기준으로 국내 유통현황, 유독성‧위험성 등을 검토하여 사고 개연성이 높은 염산(염화수소), 암모니아, 황산 등의 화학물질을 사고 발생 순위별로 선정한 것이다.
또한, 현장 대응요원들의 화학물질에 대한 이해도 및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응급조치 방법, 보호구 착용 등 주요 대응정보 등을 그림문자(픽토그램)와 사진 등으로 구성하여 한눈에 파악하여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이밖에 현장대응 물질정보 150종은 화학물질안전원 상황실에서 연중무휴 24시간 운영하고 있는 ‘사고상황공유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대응요원에게 제공된다고 연구원은 밝혔다.
사고상황공유앱은 화학사고 발생 시 대응기관 간 물질정보, 영향범위 예측정보, 사고상황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공유하기 위해 화학물질안전원에서 개발한 앱으로, 환경부‧소방‧지자체‧경찰‧군 등에서 운용되고 있다.
앱을 통해 기존 1~3분간 걸리던 물질정보 제공 시간을 한번의 조작(원클릭)으로 30초 이내로 단축시킬 수 있어 사고대응을 위한 최적의 시간(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배포된 물질정보집은 화학사고 대응기관뿐만 아니라 유해화학물질 사업장의 안전관리자 및 취급자 등 모든 국민이 활용할 수 있도록 화학물질안전원 누리집(http://nics.me.go.kr)에서 전문을 확인 할 수 있다.
화학물질안전원은 이번 물질정보집 발간을 계기로 매년 150종씩 물질정보를 구축하여 2028년까지 사고 개연성이 높은 물질 총 900여 종의 현장대응 물질정보집을 발간할 계획이다.
박봉균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은 “이번 현장대응 물질정보 제공이 화학사고 발생 시 신속한 초동조치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화학사고 대응을 위한 유용하고 정확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최신화하여 제공하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환경부, '화학안전 등대사업장' 조성위한 업무협약 체결
- 국립소방연구원, 화학사고의 효율적인 대응‧복구 위해 '제독제 신뢰성' 평가 실시
- 화학사고 유해화학물질도 '인공지능(AI)'로 빠르게 판독한다,, 올해부터 현장 실증 적용
- 소방청‧고용노동부, 'GHS 정보' 통일했다,, 화학물질 정보제공 시스템 신뢰성 강화
- 안전보건공단, 산업현장 화학사고 예방문화 확산위해 「화학사고 사례연구」 보급
- 지난해 화학사고 인명피해↑ .. 화학물질 사용자의 화재대응 능력 향상 필요
- 한국산업인력공단-화학물질안전원, ‘환경·안전 분야’ 전문가 양성 위해 맞손
- EPA의 '염화메틸렌' 사용 금지 조치로 본 미국의 위험 관리 프로세스
- 화학물질 독성, '컴퓨터'로 예측 가능해진다,, 환경부, '컴퓨터 독성 예측 프로그램' 한글판 개발 추진
- 화학재난 대응력 강화,, '화학테러 및 사고 건강영향조사 현장 적용성 평가 워크숍' 개최
- 5년간 주요 화재·폭발 사례 담은 「화학사고 사례집」 발간,, 현장 적용 가능한 안전수칙 수록
- 울산 산단, '화학사고 공동방재지원체계' 구축 ... 화학물질 유·누출 사고 대응 속도 높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