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성과관리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업이나 직장에서 사용하는 경영관리방법론이라고만 생각한다. 그래서 일을 떠난 일상적인 생활에서는 성과관리방법론과 상관없다고 생각한다. 일을 하든지 일상적인 생활을 하든지 우리는 무엇인가 일이나 행위를 하면서 살아가게 된다. 일이나 행위를 하게 되면 그냥 아무 생각없이 하지 않고, 마감일정이나 시간이 있고 기대하는 결과물이 있게 마련이다.
일이나 행위를 하기 전에 언제까지 끝낼 것인지, 어떠한 결과물을 이루어내기를 원하는지를 구체화해 놓은 것을 '완료 일정'과 '성과목표'라고 한다. 정해진 기간내에 일을 끝내고 났을 때, 일을 시작하기 전에 정해 놓은 기대하는 결과물인 성과목표를 달성했을 때 우리는 '성과를 냈다'라고 한다.
정해진 기간내에 성과를 창출하려면 기대하는 결과물을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인과적인 과제를 선택과 집중의 원리를 활용하여 선행적으로 실행해야 한다. 인생의 비전이나 목표하는 것을 달성하는 데도 성과관리방법론이 당연히 적용된다.
목표를 설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구체적인 상태적 목표Objective를 설정해야 하고, 인과적인 달성전략을 수립하고 분기, 월간, 주간 단위별로 목표를 기간별로 캐스케이딩하여 인과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 성과관리방법은 체계적으로 개념을 학습하고 올바른 방법으로 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야 반복적 성과를 창출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열심히 노력하다 보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현명한 사람들은 미래의 어느 시점에 기대하는 결과물을 위해 지금 무엇을 해야 할 지를 생각하고 인과적, 선행적으로 행동한다.
관련기사
- 스마트하게 일하기 11부- 조직의 한정된 자원을 낭비하지 않는 방법
- 스마트하게 일하기 10부 - 예상달성율, Forecasting
- 스마트하게 일하기 9부 - 성과관리 방식의 당위성
- 스마트하게 일하기 8부 - 동료에 대한 기본 예의
- 스마트하게 일하기 13부 - 개념훈련과 루틴체질화의 힘
- 스마트하게 일하기 14부- 생산성향상과 리더, CEO의 역할
- 스마트하게 일하기 15부 - 경영성과 기획과 사업 계획
- 스마트하게 일하기 16부 - 설계 도면이 제대로 그려져야 제대로 '완공'할 수 있다
- NIOSH, 미래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전략적 예측'의 중요성 강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