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은 지난 13일 「2024년 위험성평가 발표대회」를 개최하고 12개 기업이 우수 사례를 발표했다.
위험성평가 발표 대회는 사업장에서 근로자와 함께 유해·위험 요인을 발굴하고 개선하는 위험성평가 활동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현장에서 실제 적용 가능한 사례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다.
위험성평가는 사업장이 자체적으로 유해·위험 요인을 관리하는 산업안전의 핵심적 활동으로, 고용부는 2013년부터 위험성평가 확산과 내실 강화를 위해 발표대회를 이어왔다.
특히 올해 대회는 기존의 선정 절차를 개편해 현장 관계자들의 참여를 확대했고, 심사 과정을 4단계로 늘려 장관상 수상 기업도 9개로 확대했다. 이에 따라 제조·기타 분야에서 307개, 건설 분야에서 236개 등 총 606개 사업장이 참여해 3단계 심사를 거쳤고, 최종적으로 12개 기업이 우수사례로 선정되었다.
고용부는 이번 발표대회에 선정된 우수 사례들은 업종 특성은 물론 작업자의 숙련도와 외국인 근로자 특성까지 반영해 근로자와 함께 실질적인 위험성평가 활동을 실천한 사례들로, 중소기업도 충분히 따라 할 수 있는 사례들이라 밝혔다.
특히, ㈜풍산 울산사업장은 작업자의 숙련도를 반영한 맞춤형 위험성평가를 실시해 근로자의 안전 수준을 높였다. 경력과 숙련도에 따른 위험 수준 차이를 반영함으로써 경력이 짧은 근로자들이 사고에 노출되지 않도록 철저한 예방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씨제이이엔엠은 공연과 행사 같은 엔터테인먼트 현장에 특화된 안전 매뉴얼을 개발하고, 팬덤 리스크와 행사장 구조 등 업계 특성에 맞춘 위험 요소를 371개 발굴해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러한 사례는 업종에 특화된 위험관리의 필요성을 보여준 대표적 사례로 주목받았다.
한편, ㈜신성이엔지 김제사업장에서는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 스리랑카 출신 근로자를 안전리더로 지정하여 작업 현장에 위험 요소를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했다. 그림 자료를 활용해 언어 장벽을 줄이는 한편, 안전 리더가 근로자들에게 위험 요인을 안내하는 방식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을 실질적으로 강화했다.
건설업 분야에서는 ㈜새롬전기가 이동형 CCTV와 액션캠을 활용한 ‘행동기반 안전평가’를 도입해 주목을 받았다. 작업자 개개인의 행동을 실시간으로 관찰해 무의식적인 불안정 행동을 개선함으로써, 현장에서 관행적으로 이루어지는 위험 요소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인 결과를 거뒀다.
최태호 산재예방감독정책관은 “위험성평가는 중대재해 예방의 핵심 수단이며, 근로자가 직접 참여해 위험 요인을 발굴하고 개선하는 과정이 성과를 높이는 데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도 현장의 변화와 안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재해예방 위해 중요한 '사업장 안전문화',,,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
- 안전단상 - ‘TBM’활동, 자기규율예방체계 기반이자 ESG경영으로 가는 길 (1부)
- 공정안전관리(PSM) 운영 우수사례, 7개 기업 선정,, 현장의 소통 반영한 '삼영순화' 대상 수상
- 중대재해 예방 필수요소 '안전문화',, 사업장 수준별로 정량화된 평가 가능할까?
- 고용부, '24 위험성평가 우수사례' 공모,, 중앙 본선대회 외 7개 권역별 지역대회 신설
- 작년 첫 도입된 '안전보건 상생협력사업',, 우수기업 선정시 기업에는 어떤 혜택이 있을까?
- 고용노동부, 두 번째 중대재해 백서 발간…위험성평가 사례와 법 확대 대응 조명
- "재난에 강한 기업이 경쟁력이다"... 재해경감 우수기업 75% 급증
- '위험성평가시스템' 전면 개편 ... 위험성평가, 온라인과 모바일로 더 '간편'하고 '단순'하게
- 기아 오토랜드 광주, 협력사 지원 통한 안전 성과로 우수사례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