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산업현장에 고정식ㆍ이동식 산업용 로봇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산업안전보건공단이 재해사고 종류, 협동작업에 필요한 충돌방지조치 및 안전기능, 고정식ㆍ이동식 산업용 로봇 충돌방지조치 조사표 등이 담긴 산업용 로봇의 협동작업 OPS를 배포했다.
최근 산업현장에서 생산성 향상 및 인력운영 효율화 등 목적으로 협동작업을 하는 고정식ㆍ이동식 산업용 로봇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산업용 로봇은 산업현장에서 사람을 대신해 위험하거나 단순한 작업을 반복 수행하는 로봇을 말하며, 주로 제조ㆍ물류 산업현장에서 사용된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제 223조 로봇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로봇 작업영역에 울타리 또는 감응형 방호장치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안전기준이 223조 이외에는 마련되지 않아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산업용 로봇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협동 작업의 안전을 보호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협동작업 ops에는 고정식·이동식 로봇의 협동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종류와 충돌방지조치 및 안전기능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충돌방지조치 점검표를 제시하여 산업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공단은 지난 27일 고정식·이동식 산업용 로봇의 협동작업 OPS을 배포하고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올해 7월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이동식 산업용 로봇’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안전가이드를 배포하며 산업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협동 로봇과의 작업시 근로자의 안전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것을 당부했다.
관련기사
- 최근 용접로봇 관련 중대재해 증가,, 안산 소재 제조공장서 용접 로봇에 '끼임' 사고 발생
- 내일기업-엠라인스튜디오, 스마트 안전문화 저변확대 및 활성화 위한 업무협약(MOU)」체결
- 인공지능이 산업안전보건에 미치는 영향과 남겨진 과제
- 4차 산업혁명시대!!! 안전보건분야 무엇을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기아자동차 안전환경기획팀 김재형 팀장】
- 또다시 로봇관련 사망사고 발생,, 시스템 설치 작업중 산업용 로봇에 작업자 '끼임' 사망
- 고용노동부, '중대재해 사고백서' 최초 발간.. 사례별 전문가 제언·국내외 유사 사례 수록
- [안전 Talk Talk] 증가하는 산업용 로봇 관련 사고,, 재발 방지 위한 올바른 초점은?
- 근로자와 로봇의 안전한 공존위해 반드시 보장돼야 할 부분은 무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