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방헬기, 최근 3년간 산악사고 현장 2,903회 출동해 2,535명 긴급 이송
- 헬기 산악 사고 출동 35% 가을철(9~11월) 집중… 기타산악‧일반조난‧실족‧추락 순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가을철을 맞아 산을 찾는 이들이 증가하면서 산악사고가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안전한 산행을 위한 안전 수칙 준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소방청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3년동안 전국 산악사고 구조건수는 총 33,022건이며, 구조 인원은 매년 증가해 22년 8,706명이 구조되었다.
월별로는 날씨가 선선해지는 9월부터 급증하기 시작해, 9월과 10월 두달 간 전체 출동 건수의 25%가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인(유형)별로는 실족 및 추락, 개인 질환, 길 잃음, 젖은 낙엽을 밟고 미끄러지는 경우, 돌부리에 걸려 넘어지거나 발목을 다치는 사고, 음주 산행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 가운데 최근 3년간 산악사고로 소방헬기가 출동한 건수는 2,903건으로, 전체 산악사고의 10% 가량을 차지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가을철(9~11월)에 35%인 1,014건을 출동하여 시기적으로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전국 32대의 소방헬기는 긴급 출동태세를 갖추고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있다.
만약 산행 도중 사고가 발생 할 경우 등산로에 설치된 산악위치표지판이나 익숙한 지형지물을 확인한 후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한다. 간이구조구급함에 비치된 비상 의약품으로 응급처치 후 구조대가 올 때까지 침착하게 기다리면 된다.
이와 함께 안전한 산행을 위해서는 다음의 안전수칙 준수가 필수적이다.
① 기상정보 확인 및 나홀로 산행 자제
② 개인의 체력과 당일 컨디션 고려하여 등산코스 정할 것
③ 일찍 산행을 시작하고 해지기 전 하산
④ 등산 전 가벼운 준비운동
⑤ 큰 온도차에 대비한 가벼운 겉옷 준비
⑥ 지정된 등산로 벗어나지 않기
⑦ 음주산행 금지
소방청 김승룡 장비기술국장은 “언제, 어디든 신속 출동할 수 있도록 소방헬기가 대비 태세를 갖추고 있지만 사고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며 “국민여러분께서도 반드시 기상정보를 확인하는 등 산행 시 안전 수칙을 철저히 지켜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 GPT로 알아보는 가을철 안전사고,, 인공지능 분석을 통한 위험요인과 재해 예방법?
- 년중 산악사고 발생 1위 10월,, 이것만큼 꼭 기억해야 할 '산악 안전수칙'과 사고시 '대처방안'은?
- 산악사고 가장 많은 10월,, 실족·조난·추락 등 위험사고 주의 당부
- 가을 행락철마다 증가하는 산악사고, 산불,, '위험요인 집중신고' 운영으로 위험 요인 없앤다
- 가을 산행 야생버섯 채취ㆍ섭취 경보,,, 잘못된 안전상식으로 '마비'까지 올수 있다
- 얼었던 땅 녹으며 지반붕괴 위험도↑ '해빙기' 안전사고 주의보 발령
- 등산사고 발생높은 4월,, 산행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안전수칙은 뭘까?
- ‘가을철 재난·안전 위험요소 집중신고기간’ 운영 시작! ,, 안전신문고로 '축제·인파밀집·어린이 안전 위험' 신고 당부
- 소방청, 가을철 낚시 중 안전사고 주의 당부…구명조끼 착용은 '필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