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행 등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4월, 등산사고에 각별한 주의 필요
- 사고 원인 중 가장 많은 실족 (34%) .. 발밑 얼음 등 미끄러짐 주의
- 일교차 심한 시기 등산, 보온에 주의하고 등산로는 체력에 맞게 선택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매년 4월은 날씨가 포근해져 산행에 나서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인명피해가 증가하는 달이다. 이에 행정안전부가 산행 시 반드시 지켜야 할 안전요령을 안내하고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 3년(2020~2022)간 발생한 등산사고는 총 24,302건이며, 12,394명(사망 282명, 부상 11,978명, 실종134)의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이 중, 4월에는 2,051건의 등산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산행 중 22명이 사망하고 1,090명이 다쳤다. 특히, 4월은 봄철 중 전월대비 증가한 등산사고 건수가 가장 많은 563건으로 산행 시 안전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사고 원인별로는 발을 헛딛거나 미끄러지며 발생하는 실족이 34% (8,292건)로 가장 많았고, 길을 잃고 헤매는 조난 28% (6,688건), 신체질환 20%(4,766건) 순이었다. 4월의 등산로는 이슬과 서리 등으로 미끄럽고 꽃샘추위로 인한 날씨 변화도 심해 많은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산행시 반드시 알아야 할 안전 수칙
봄에는 일교차가 커 한낮에는 제법 포근하지만 고도가 높은 산에서는 추위에 노출되기 쉽다. 이에 봄철 등산길에서는 이슬·서리로 인한 미끄러짐 등 안전사고와 보온 등 건강관리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우선 산행은 가벼운 몸풀기로 시작하여 자신의 체력에 맞는 등산로를 선택하고, 산행 중이라도 몸에 무리가 오면 즉시 하산하도록 한다. 평소 산행을 하지 않는 초보일수록 하산 시까지 체력관리에 주의한다.
또한, 산행 시 고도가 높거나 그늘진 곳, 낙엽 아래로는 아직 채 녹지 않은 얼음과 서리 등으로 미끄러지기 쉬우니 발밑을 조심한다. 특히, 암반 지대나 바위 등이 젖어있으면 미끄러짐에 더욱 주의한다.
요즘처럼 일교차가 큰 시기에는 보온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갑자기 추워지거나 찬 바람이 불 때 덧입을 수 있는 여벌의 옷과 장갑, 귀마개 등 보온용품을 챙겨가는 것이 도움이 된다. 가벼운 마음으로 집 근처의 야산을 등산하더라도 꼭 주변사람들에게 행선지를 알리고 출발하는 것이 안전하다.
박명균 예방정책국장은 “봄철의 등산길은 일교차가 크고 서리 등으로 미끄러지기 쉬워 위험하니, 안전한 산행을 위해 보온에 유의하고 안전수칙을 사전에 숙지하시기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 얼었던 땅 녹으며 지반붕괴 위험도↑ '해빙기' 안전사고 주의보 발령
- 가을 산행 야생버섯 채취ㆍ섭취 경보,,, 잘못된 안전상식으로 '마비'까지 올수 있다
- 가을철 산악 사고 급증,, 안전한 산행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할 안전수칙은?
- 년중 산악사고 발생 1위 10월,, 이것만큼 꼭 기억해야 할 '산악 안전수칙'과 사고시 '대처방안'은?
- 산악사고 가장 많은 10월,, 실족·조난·추락 등 위험사고 주의 당부
- 봄철 야외활동 증가로 안전사고 급증, 겨울철 대비 72.5% 증가,,
- 매년 1월 1일 등산 사고 최대 발생! ... 해넘이·해맞이 산행 시 지켜야 할 안전 수칙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