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부터 11월까지 두 달간 가을철 안전신고 집중신고기간 운영
-산악사고, 산불, 교통·보행 위험 등 일상 안전 위협 요인 접수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매년 가을 행락철마다 증가하는 산악사고와 산불 등을 방지하고자 국민적 참여를 통해 위험요인을 사전에 없애기 위한 집중 안전점검 신고기간이 운영된다.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지난 7월부터 시작한 대한민국 안전대(大)전환의 일환으로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두 달간을 가을철 위험과 관련된 안전신고 집중신고기간으로 지정하고 국민의 적극적인 신고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안전대(大)전환은 집중 안전점검 등을 통한 안전 위해요소 감축 및 재난 대응능력 제고를 위한 전방위적 홍보(캠페인) 등을 포함하는 행안부 주관 범부처 계획이다. 이번 안전신고 대상은 산악사고, 산불, 교통·보행 위험 등 가을 행락철에 발생하기 쉬운 안전 위험 요인이 모두 해당된다.
안전신문고는 누구나 스마트 폰 앱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신고할 수 있어 2014년 개통 이래 국민의 신고 건수가 20년 180만건, 21년이 400만건으로 매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국민 누구나 안전신문고 누리집(http://www.safetyreport.go.kr) 또는 스마트폰 앱(APP)을 통해 신고할 수 있다.
신고된 내용은 행정안전부에서 처리기관을 지정해 신속히 처리하도록 통보한 후 결과를 신고인에게 문자메시지 등으로 알려준다.
행정안전부는 안전사고 예방효과가 큰 우수 신고 사례를 선정하여 매 분기 포상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지난 2분기에는 10건을 선정하여 20만 원 상당의 상품권을 신고자에게 지급한 바 있다.
이번 분기에도(가을철 집중신고기간 포함) 우수 사례를 선정하여 소정의 상품권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행안부는 전했다.
오후석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쟁책관은 “가을철 산악사고나 산불위험 등 생활 속 위험 요인이 신속하게 해소되어 나와 우리 가족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신고를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22년 1차 '근무혁신 인센티브제' 우수기업 선정에 42개 일반사, 재택근무 특화 8개사 선정
- [미국] 전기 안전에 대한 근로자 인식도 조사 시행, 과연 그들은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할까?
- 산악사고 가장 많은 10월,, 실족·조난·추락 등 위험사고 주의 당부
- 년중 산악사고 발생 1위 10월,, 이것만큼 꼭 기억해야 할 '산악 안전수칙'과 사고시 '대처방안'은?
- 7월 한 달간 안전신문고 68만 건 달성,,, 역대 월 단위 '최대' 신고
- GPT로 알아보는 가을철 안전사고,, 인공지능 분석을 통한 위험요인과 재해 예방법?
- 가을철 산악 사고 급증,, 안전한 산행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할 안전수칙은?
- 뱀물림사고 후 잘못된 압박이 상태 더 악화,, 뱀물림 시 올바른 응급처치는?
- 우리동네 '화재안전지수'는 얼마? '소방안전 빅데이터 플랫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연간 산불의 25% 3월 발생,, '소각ㆍ담배' 만으로도 법적 처벌 가능하다?
- '봄철 안전위험요인' 없앤다,, 행안부, '봄철 재난·안전 위험요인 집중신고기간’ 운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