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역작업 중 굴러 떨어진 1.5톤 화물에 초등생 1명 사망·3명 부상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지난달 28일 오전 8시 31분쯤, 부산 영도구 청학동의 한 어린이 보호구역 도로에서 대형 어망통이 굴러 떨어져 등굣길 초등학생 등 4명을 덮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해당 사고는 주정차 금지 구역인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하역작업을 하던 지게차에 실려 있던 1.5톤짜리 화물이 굴러 떨어져 발생했으며, 이 사고로 초등학생 10살 여자아이 1명이 심정지로 숨졌다. 나머지 초등학생 2명과 30대 여성도 부상을 당했다.

 

보호받지 못하는 어린이 보호구역

ⓒ어린이 보호구역에서의 제한/출처-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어린이 보호구역에서의 제한/출처-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도로교통법 제32조(정차 및 주차의 금지)에 따르면 '모든 차의 운전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곳에서는 차를 정차하거나 주차하여서는 아니 된다' 라고 명시되어 있다.

 

사고가 발행한 어린이 보호구역은 제8호에 해당되어 법적으로 주정차가 금지된 구역이었지만, 평소에도 덤프트럭 같은 대형 차량을 자주 세워두고 하역작업이 이뤄졌다고 알려졌다. 특히, 초등학생이 등교하는 시간에도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보면 평소에도 제대로 된 규제가 없었다는 것을 미뤄 짐작할 수 있다.

 

사고가 발생한 날, 등교시간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한 지게차가 트레일러 하역작업을 하던 중에 어망통을 하나를 떨어뜨렸다. 이 어망통은 내리막길 100여m 정도를 굴러 내려왔다. 시민 남성 3명은 어망통을 멈추기 위해 쫓아가 보지만 빠르게 굴러가는 어망통을 따라잡을 수는 없었다.

 

어망통은 도로 왼편 인도펜스를 1차로 가격한 뒤 반대편 펜스를 연달아 들이받았다. 스쿨존 안전펜스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1.5톤 어망통의 무게를 견디지 못한 10여개의 펜스가 부서졌다.

 

ⓒ사고 현장/출처-헤럴드경제 '거대 롤' 100m 굴러 스쿨존 덮쳤다…10세 초등생 사망
ⓒ출처-헤럴드경제 '거대 롤' 100m 굴러 스쿨존 덮쳤다…10세 초등생 사망' 기사에 실린 사고 현장. 

jtbc뉴스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해당 공장 관계자는 “지게차 작업을 하다가 한쪽으로 많이 쏠려서…수평이 안 맞아서…”라며 사고 경위에 대해 설명했으며, 정작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주정차를 하면 안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전혀 인지하지 못한 모습을 보였다.

 

하역작업의 유해위험요인

ⓒ출처-안전보건공단
ⓒ출처-안전보건공단

하역작업이란 화물수송 과정에서 화물의 이동에 관한 일체의 현장처리작업을 말한다. 하역작업의 대표적인 유해위험요인은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에 부딪힘·깔림, ▲운반 및 적재된 화물에 깔림·맞음, ▲도크, 화물자동차 등에서 떨어짐, ▲리프트 게이트, 적재함 문 등에 끼임, ▲중량물 반복 상차에 의한 근골격계질환 발생 등이 있다.

 

안전보건공단의 통계에 따르면 재해유형·발생형태별 재해자는 떨어짐 323명[약 19%], 넘어짐[약 18%] 순으로 많았다. 해당 사고의 유형과 같은 물체에 맞은 재해자수 역시 240명으로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발생형태별 재해유형별 재해자분포/출처-안전보건공단
ⓒ발생형태별 재해유형별 재해자분포/출처-안전보건공단

 

화물 하역작업시 안전조치

유사사고나 동종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화물 적재방법은 화물형태에 따라 쌓는 방법이 나뉜다.

 

ⓒ출처-안전보건공단
ⓒ출처-안전보건공단

원형(관, 코일 등) 화물의 경우 ▲화물을 엇갈리게 쌓아 상호간 서로 맞물림 효과, ▲목재 등에 두 개 이상의 버팀목 사용, ▲쐐기,  구름방지, ▲단위 화물 고정 조치 및 전체 화물 묶음 조치 등을 해야 한다.

 

사각형(형태·크기 유사) 화물의 경우 ▲무게중심은 중간높이 아래에 오도록 적재, ▲적재함을 초과하여 화물적재 금지, ▲개별 화물 추락방지 위해 파렛트 등 단위 포장, ▲여러 묶음의 중층 적재인 경우 하단과 윗단을 두 개 이상의 로프로 묶어주기 등을 해야 한다.

 

비정형 쌓기(형태·크기 상이, 건설자재 등) 화물의 경우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판 드 사용, ▲모든 방향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중앙부 교차 묶음, ▲화물 상단을 교차하여 묶어 화물 고정, ▲화물 형상에 맞는 자립각 고려 등을 해야 한다.

 

호환성 없는 화물 적재의 경우 ▲적재구역을 분리하기, ▲무게중심은 적재 공간 중간 아래에 오도록 적재, ▲액체 포장 화물 위에 고체 화물 쌓기, ▲최소 틈새가 유지되도록 적재, ▲빈 공간에는 충진물을 넣어 화물 고정하기 등을 해야 한다.

 

안전의식은 비단 산업현장에만 국한된다는 생각을 가진 이들이 있다. 우리 생활 주변 곳곳에는 보이지 않는 위험요소들이 우리가 사랑하는 이들의 생명과 건강을 수시로 위협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말아야 한다. 안전 수칙을 지키는 것을 생활하는 인식전환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