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근로자의 안전 확보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안전 표준을 정하고 이를 지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표준 안전 관리 계획서가 있는데, 이는 현장 및 실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관한 내용을 작성하는 문서이다.

 

‘표준’이기 때문에 통일된 양식으로 문서 체계를 확립할 수 있으며, 문서의 성격과 용도에 맞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내·외용 문서로도 활용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기업의 비즈니스에서는 도급이나 협업과 같은 타 회사와의 의사소통이 필요한 업무가 많고, 안전은 어느 상황에서든 확보해야 하는 가치이기 때문에 표준을 마련하고 정립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기사에서는 EHS Daily Advisor에서 발행한 ‘OSHA’s Process Safety Standard: Requirements, Enforcement, Future’이라는 기사를 참고하여 다양한 안전 표준 중 사업장 내 자율 안전시스템을 가동하기 위한 공정안전보고서 (PSM)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PSM은 유해 위험설비로부터 중대산업재해를 예방하여 근로자 및 인근 지역 피해를 막기 위해 실시한다.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유해 위험설비를 취급하는 사업장 7개와 51개의 유해 위험물질 중 하나 이상을 규정 수량 이상 제조 및 취급하는 모든 설비 및 공정을 대상으로 한다.

 

해당 설비를 보유한 사업장은 PSM을 작성한 뒤 제출하여 심사 및 확인을 받도록 산업안전보건법 제 49조에 명시되어 있다. PSM은 크게 4가지 구성요소(공정안전자료, 공정위험성평가, 안전운전계획, 비상조치 계획)으로 나누어지며, 안전운전계획은 다시 세부적으로 9개로 나누어져, 총 12개 요소로 이뤄져 있다.

 

미국 PSM 위반 사례

미국 OSHA는 General Aluminium Mfg. Company가 4번의 반복된 사고, 18번의 고의적 사고, 16번의 심각한 사고를 포함하여 38번의 안전보건 표준을 위반했다고 밝혔다. 해당 회사는 미국 OSHA의 중대 위반 사업장 단속 프로그램 (Severe Violator Enforcement Program, SVEP)에 포함되었다.

 

OSHA는 해당 기업이 다음 의무사항을 수행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 이산화황이 사용된 장비에 대한 공정 위험 분석 수행

▶ 서면 프로세스 안전 정보 작성 및 서면 운영 절차의 개발, 구현

▶ 공정 장비의 지속적인 정상 작동을 유지하기 위한 서면 절차 수립

▶ 장비, 절차, 공정 화학물질 및 기술의 변화에 대한 "변경 관리" 절차 수립

▶ 유해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시설의 비상조치 계획 수립

▶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공정 절차 교육

 

미국 PSM 운영

미국 OSHA는 기업의 PSM 구현을 확대하기 위해 2017년부터 시행 중인 국가 중점 프로그램 (National Emphasis Program, NEP)에서 화학시설을 다루고 있다. 대상 시설로는 화학 공장, 폭발물과 폭약을 생산하는 시설, 석유 정제소 등이 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문서화보다 PSM 구현에 대한 점검을 강조한다. OSHA는 기업에 문서화된 서면 PSM 프로그램이 존재할 수 있지만, 프로그램의 실질적 구현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미국 OSHA가 요구하는 PSM과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공정 안전 위험 분석 수행

▶ 공정 안전 정보 수집

▶ 서면 운영 절차의 개발 및 이행

▶ 잠재적 폭발, 화재 또는 독성 방출 위험 알림

▶ 신규 또는 변경된 시설물에 대한 시운전 전 안전성 검토 수행

▶ 화학 공정 장비의 정상작동 유지

▶ 공정 안전 및 장비 유지관리 교육 제공

▶ 공정 설비 또는 근처에서 수행되는 열 작업에 대한 "열 작업" 허가서 발급

▶ "변경관리" 절차의 수립 및 시행

▶ 유해 화학물질의 치명적인 방출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사고 조사

▶ 발전소 전체에 대한 비상조치 계획 및 유해 화학물질의 방출 처리 계획 수립

미국의 PSM 표준은 1992년 제정된 이후로 개정되지 않았지만, 미국 OSHA는 현재까지 개정을 위한 작업을 진행중이다.

 

근로자는 출근할 때부터 퇴근할 때까지 안전할 권리가 있고, 기업은 근로자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안전한 일터를 조성할 의무가 있다. 사업장 내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모든 구성원이 자율적으로 안전을 생각하는 마음가짐과 행동, 그리고 관련 부처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

 

 

※ 본 기사는 EHS Daily Advisor에서 발행한 'OSHA’s Process Safety Standard­: Requirements, Enforcement, Future' 기사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음.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