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노동자·옥외근로자·독거노인 등 혹서기 보호 대책 강화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경기도가 본격적인 여름철을 맞아 이동노동자, 옥외근로자 등 폭염취약계층의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재해구호기금 2 원을 시군에 지원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혹서기에 온열질환자 급증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질병관리청(KDCA)에 따르면 올해 5월 15일부터 6월 22일까지 국내에서 총 247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으며, 이 중 2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 발생자 중 77.6%가 남성이며, 65세 이상 고령층의 발생 비율이 높고, 특히 80세 이상 연령대에서 가장 많은 사례가 보고됐다. 지역별로는 서울 54명, 경기도 40명, 경북 26명 순으로 집계됐다. 이는 폭염에 특히 취약한 고령층과 옥외 활동 인구의 안전 확보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경기도의 경우 지난해에도 도내 온열질환자 767명 중 70%인 536명이 혹서기 기간에 집중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해 시군별 폭염 예방 사업계획을 취합한 뒤, 지난 23일 지원 금액을 교부하고 신속한 사업 추진을 요청했다.
이동노동자 쉼터부터 옥외근로자·독거노인 보호까지
이번 재해구호기금은 대리운전기사, 택배노동자 등 이동노동자가 쉼터에서 쉴 수 있도록 생수, 부채, 쿨토시 등을 구입하는 데 2억 4000만 원이 쓰인다. 또한 소규모 공사장과 논밭 등에서 근무하는 옥외근로자에게 쿨스카프, 쿨토시, 쿨스프레이 등을 지급하기 위해 3억 4000만 원이 투입된다.
독거노인 등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보호 대책도 포함됐다. 무더위 쉼터의 냉방비와 냉방기 청소·수리비, 부채·양산 등 폭염예방물품 지원에 14억 2000만 원이 배정됐다.
“선제적 대응으로 피해 최소화 기대”
이종돈 경기도 안전관리실장은 “평년보다 빨리 찾아온 더위로 폭염 취약계층의 온열질환 발생이 우려된다”며 “폭염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재해구호기금을 선제적으로 지원하게 됐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시군과 협력해 물품 배포, 쉼터 운영 강화 등 실질적 대책을 통해 혹서기 온열질환 예방과 피해 최소화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관련기사
- AI 의료·스마트 로봇·온열질환 대응… 창립 30주년 기산협, 산업보건 실무 전략 공유
- 고용부, 폭염 고위험사업장 특별 감독…“5대 안전수칙 위반 시 엄정 대응”
- 조기 폭염·집중호우 속 근로자 건강 안전망 강화… 건설현장 스마트밴드 도입 확대
- 전국 최초 '기후보험’서 온열질환 첫 보험금 지급…경기도 기후안전망 현실화
- 전지 제조공장·폭염 취약 사업장, 9월까지 현장점검… 비상구·소화설비·작업중지까지 총점검
- “33도 넘으면 2시간마다 20분 쉬기”…고용부·공단, 폭염안전 5대 수칙 정착 나선다
- 고용부·공단, 폭염·호우 취약 사업장 6만 6천 개소 일제 점검
- 폭염 대응 긴급장비 지원…50인 미만 사업장 7월 18일까지 공모
- 폭염작업 ‘2시간 20분 휴식’ 의무화 확정…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안 통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