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HD현대미포조선소에서 발생한 추락 사망사고와 관련해 고용노동부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 조사에 착수했다. 이번 사고는 지난 2016년 11월 이후 8년 만에 발생한 중대재해다.
19일 울산 동부경찰서와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18일 오후 4시50분경 HD현대미포 조선소 도크에서 작업하던 A씨(39)가 도크 난간 사이에서 작업하다 추락했다. A씨는 도크 난간(높이 1.2m)에서 20kg 이상의 세척제를 줄에 매달아 12m 아래 바닥으로 내리는 작업을 혼자 수행하던 중 균형을 잃고 물품을 매단 줄과 함께 추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동료 직원이 도크 바닥에 쓰러진 A씨를 발견해 회사 안전부서에 신고했고, A씨는 곧바로 병원으로 이송돼 응급수술을 받았으나 19일 새벽 3시30분경 사망했다.
경찰은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로 수사를 진행 중이며, 사고 당시 A씨가 안전모와 안전벨트는 착용했으나 안전고리 체결 여부는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관할 부산지방고용노동청 광역중대재해수사과와 울산지청 산재예방지도과도 사고 발생 즉시 부분작업중지를 명령하고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이번 사고는 ▲혼자서 중량물 취급 ▲안전고리 체결 미확인 ▲작업 전 위험성 평가 미실시 등 기본적인 안전수칙 미준수가 화를 키운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최근 조선업계는 수주량 회복으로 인한 호황기를 맞이했지만, 산업재해도 함께 증가하는 추세다.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선박건조·수리업의 산재 사고는 2020년 2,492건에서 2023년 3,754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올해는 6월까지 1,758건이 발생했다. 특히 올해 조선업계에서만 13건의 중대재해가 발생해 17명이 사망했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필수 안전조치
동종 및 유사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려면 현장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안전수칙이 제대로 준수되어야 한다. 산업안전보건법과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추락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작업 전 철저한 안전조치가 필수다.
우선 2m 이상 고소작업을 할 때는 반드시 작업허가를 받아야 하며, 작업 시작 전 위험성평가를 실시해 안전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작업자들은 특별안전교육(2시간 이상)을 이수해야 하며, 작업 전 안전미팅(TBM)을 통해 작업절차와 위험요인, 안전조치 사항을 모든 작업자가 함께 확인해야 한다.
추락방지 시설 설치도 매우 중요하다. 작업발판은 폭 40cm 이상의 견고한 구조물로 설치해야 하며, 안전난간은 상부난간대(90cm 이상)와 중간난간대, 발끝막이 판을 모두 갖춰야 한다. 개구부에 설치하는 덮개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해야 하는데, 직경 2m 미만의 개구부는 최소 4.5mm 이상의 철판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추락방호망은 10m 이내 간격으로 설치해 혹시 모를 추락 사고에 대비해야 한다.
이번 사고와 같이 중량물을 취급할 때는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20kg 이상의 중량물을 다룰 때는 반드시 2인 1조로 작업하거나 호이스트와 같은 기계식 운반장치를 사용해야 한다. 특히 기계식 운반장치는 정기검사를 실시해 항상 안전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줄걸이 작업은 자격을 갖춘 작업자가 작업계획서를 작성한 후 실시해야 한다. 또한 신호수를 배치하고 모든 작업자가 통일된 신호방법을 사용해야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다.
개인보호구 착용도 철저히 해야 한다. 안전모는 반드시 턱끈을 체결하고 충격흡수 능력을 확인해야 하며, 2m 이상 고소작업을 할 때는 안전대를 반드시 착용하고 D링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해야 한다. 안전대 부착설비는 견고한 구조물에 설치하고 수직 구명줄도 함께 설치해 이중의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한편, HD현대미포는 연평균 700억원의 HSE(건강·보건·환경) 투자와 8만여 건의 근로자 참여 위험요인 개선 활동을 추진하며 8년간 중대재해 제로를 달성, 최근 한국경영자총협회 주관 제1회 안전문화혁신대상 대기업 부문 대상을 수상했으나 이번 사고로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 조사를 받게 됐다.
회사 측은 "이번 사고로 유명을 달리한 재해자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께 진심 어린 애도와 위로의 뜻을 전한다"며 "사고 수습과 지원에 최선을 다하고, 수사기관 조사에 적극 협조해 사고 원인을 규명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에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