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스계 소화설비 안전 성능 강화 위해 화재안전성능기준 일부 개정 ,, 8월부터 보호장치 덮개 설치 및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방출 시 부취제 동시 방출 의무화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가스계 소화설비 누출 사고를 방지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오는 8월부터 보호장치 덮개 설치 및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방출 시 부취제 동시 방출이 의무화된다.

 

소방청은 가스계 소화설비의 화재안전성능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6)」과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7A)」 일부개정고시를 이번달 10일 발령하고 오는 8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은 지난 '21년 서울 금천구 소재 지식산업센터 공사장 지하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 누출사고(사망 4, 부상 17)에 따른 후속 안전대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개정안의 주요내용은 소화약제 방출 등 오조작 방지를 위해 수동기동장치에 보호장치(덮개)를 설치하도록 하고, 이산화탄소 방출 시 부취제가 함께 방출되도록 의무화 하는 것이다. 

 

ⓒ 가스계 소화설비 설치 모습 - 출처 : 소방청 
ⓒ 가스계 소화설비 설치 모습 - 출처 : 소방청 

가스계 소화설비는 물과 반응하면 폭발할 위험이 있거나, 화재진압시 방수되는 소방용수로 인해 수손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고가의 장치를 보관하는 장소에서 사용된다. 해당 장소에서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물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불활성‧비전도성 소화약제를 가스 형태로 방출한다. 

 

반면, 가스계 소화설비는 방호구역 내에 사람이 있는 경우 소화약제 방출에 따른 질식의 우려가 있고, 소화에 필요한 소화가스 농도가 높은 경우 사람이 상주하는 장소에는 설치할 수 없는 어려움도 있다. 실제로 '11년부터 '22년까지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누출사고는 총 12건으로, 15명이 숨지고 43명이 부상당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방청은 고용노동부 및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가스계 소화설비의 문제점과 사고현황을 분석하고, 설치 및 관리 기준을 개선했다.

 

우선, 스위치 덮개 등 보호장치를 설치토록 하여 오조작을 방지하고, 가스 누출을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소화약제 방출시 부취제가 함께 방출되도록 했다. 부취제는 일종의 방향 화합물로, 가스와 같은 무색무취의 기체상태 물질에 첨가되어 해당 물질이 증발하거나 누출될 때 냄새로 즉시 감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또한, 과압배출장치를 통해 나온 소화가스를 건축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여 저장용기실 내 소화가스가 체류할 위험성을 개선했다.

 

홍영근 소방청 화재예방국장은 “이번 화재안전성능기준 개정을 통해 건축물 내에 가스계 소화설비가 설치된 장소의 공간안전성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특정소방대상물의 화재안전성능 향상뿐만 아니라 인명안전확보를 위한 개선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