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이 체험활동 중 손상' '20년부터 3년간 꾸준히 증가 추세
- 질병청, 손상 예방 위해 예방수칙, 체크리스트 등 가이드라인 및 동영상 교육자료 배포
- 어린이 손상 사고는 5~6월(21.3%)에 가장 많이 발생
- 사망 주요 손상기전은 추락낙상, 운수사고, 익사・질식, 화학물질로 인한 손상 등
- '손상 예방 가이드라인' 숙지 통해 보호자가 예방수칙, 응급처치법, 체크리스트 확인하는 등 사전에 준비하는 것 중요

ⓒ 질병관리청 
ⓒ 질병관리청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질병관리청이 어린이 체험활동이 증가하는 5월, 6월을 대비하여 어린이들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체험활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예방수칙, 응급처치, 체크리스트 등이 포함된 '손상예방 가이드라인'과 동영상 교육자료를 개발하여 배포했다.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가이드라인'은 손상 발생 및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질병관리청에서 실시한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결과를 근거로 체험활동 및 야외활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선별하여 제작되었다.

 

ⓒ 질병관리청 
ⓒ 질병관리청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에 따르면, 전체 손상 중 4-13세가 12.4%였다. 최근 5년간(’18년~’22년) 4세~13세의 어린이 손상은 4세가 18.8%로 가장 많았고, 5세(15.1%), 6세(12.3%) 순으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 손상이 많이 발생하는 시기를 살펴보면, 5~6월에 가장 많이 발생(21.3%)하였고, 7월(9.6%), 10월(9.2%) 순이었는데, 발생 계절에 상관없이 추락・낙상이 가장 많았다. 

 

ⓒ 질병관리청 
ⓒ 질병관리청 

월별로 주로 발생하는 손상을 살펴보면, 다른 월에 비해 4월~7월, 9월~10월에는 운수사고가 증가하고, 5월~9월에는 익수 사고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계절별 활동에 따라 손상의 특성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손상 예방교육은 장소별·계절별·활동별 손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기적절하게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어린이 손상에서 진료결과는 입원이 5.7%, 사망이 0.1%였다. 입원을 유발하는 손상기전은 주로 추락·낙상(51.6%), 운수사고(19.7%), 둔상(13.1%) 순이었고, 사망을 유발하는 기전은 추락·낙상(41.3%) 운수사고(24.8%). 익수 또는 질식 등(15.7%)이 대부분이었다.

 

ⓒ 체험활동 중 발생한 손상의 연도별 추이 - 출처 : 질병관리청 
ⓒ 체험활동 중 발생한 손상의 연도별 추이 - 출처 : 질병관리청 

특히, 체험활동 중 발생하는 손상의 연도별 추이를 보면 ’18년 26.5%에서 ’20년 7.4%로 줄었다가 ’21년 13.2%, ’22년 22.1%로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년 이후는 코로나19 유행으로 단체 및 외부활동의 제한이 있었던 점을 고려할 때, 체험활동 중 손상이 최근 증가하는 것은 이에 대한 인식개선 및 예방관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체험활동 중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로는 숲 체험 중 넘어지며 다치거나, 스포츠 체험 중 발목을 접질리고, 요리실습 중 화상, 농장체험 중 동물에게 물리는 등의 손상이 있었다. 

 

ⓒ 질병관리청 
ⓒ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은 어린이 체험활동 중에 나타날 수 있는 손상별 예방수칙과 응급처치 지침, 시설 안전 점검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고, 어린이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동영상 교육자료를 제작하였다.

 

가이드라인은 물놀이 활동, 야외활동, 환경손상(온열질환, 벌레물림 등), 이동 중 운수사고에 대한 예방 및 응급처치 수칙과 시설 등의 점검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담고 있으며, 어린이 교육용 동영상에는 교통사고 및 야외활동 손상예방을 위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손상은 인식제고와 교육을 통해 충분히 예방가능하다. 특히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손상은 평생동안 장애나 후유증을 남길 수 있는 만큼 어린이들이 건강한 체험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사와 보호자가 예방수칙과 응급처치법, 체크리스트를 확인하는 등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최근 어린이 체험활동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해 제작된 가이드라인과 교육 동영상이 가정과 교육현장에서 적극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어린이 체험활동 전 준비사항과 응급처치 수칙이 포함된 손상예방 가이드라인 및 시설점검 체크 리스트, 그리고 어린이 손상예방 교육 동영상은 국가손상정보포털(https://www.kdca.go.kr/injury) 및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s://www.kdc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