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건설기준 디지털화 성과발표회' 개최 ··· ’26년까지 디지털화 완료 계획
- 건설 기준 연계 기준맵 제작 및 BIM 적극 활용 예정 ... 실무자 업무 효율성 향상 기대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스마트건설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건설기준 디지털화 사업’의 올해 성과를 발표하고,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지난 15일 건설회관에서 국토교통부 주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관으로 성과발표회를 개최했다.
해당 발표회에서 '건설기준의 디지털화'가 주요하게 다루어졌다. 그간 설계·시공 실무자들은 도면을 작성·검토할 때 관련 건설기준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건설기준 디지털화가 완료되면 이러한 작업을 컴퓨터가 수행하고, 건설기준 적합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해 줌에 따라 검토시간 및 설계 오류가 줄어들어 업무 효율성 향상이 기대된다.
예를 들어, 특정 부재(기둥·벽체 등)의 철근량 적정 여부 검토 시 건설기준에서 요구하는 철근량에 적합한지 여부를 컴퓨터가 판단하고, 철근량이 부족할 경우 ‘부적합’ 판정을 내려 재검토를 통해 설계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건설기준 디지털화는 ①시설물별 설계·시공 절차도에 관련 건설기준을 연계하는 기준맵 제작, ②기준맵을 기반으로 BIM 환경에서 사용자가 절차별·부재별 건설기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이브러리 구축, ③라이브러리 내 정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형식)로 변환하는 온톨로지(Ontology, 사물 간 관계 및 개념을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 작업 등 3단계를 거쳐 완성된다.
BIM은 공사정보를 포함한 3D 입체 모델로, 모든 단계에 걸쳐 디지털화된 정보를 통합관리하는 기술(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다. 또한 BIM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라이브러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공통·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정보 집합체(문서, 데이터 등)로 구축됐다.
국토교통부는 소관 건설기준 중 국민 생활·안전과 밀접하고, 비교적 수치로 정량화된 내용이 많은 교량·건축 분야 건설기준부터 디지털화에 착수를 22년부터 시작해 현재 라이브러리 구축을 완료하고, 24년에는 두 분야의 온톨로지 작업과 타 분야 건설기준 라이브러리 구축을 병행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김태오 기술안전정책관은 “건설기준 디지털화로 BIM 활성화, 설계 오류 자동 검토로 인한 실무자의 업무 효율성 향상이 기대”된다면서, “교량·건축 분야를 필두로 ’26년까지 주요 분야 건설기준의 디지털화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국토부, '23 스마트건설 챌린지 공모전 수상작 발표,, 우수한 스마트건설 기술 활성화 지원
- 건설기준 검색시 신속·정확하게,, 건설분야 특화된 인공지능 프로그램 개발 본격 착수
- 건설안전학회, '스마트안전기술 활용 방안' 건설안전혁신토론회 개최
- 19일 '22 한국건설안전박람회 개최, LG U+,포스코 ICT, GSIL 등 스마트건설·안전 140여개사 참여
- 스마트 건설안전 장비 4개 권역 24개소 현장지원,, 첨단 안전기술의 확산 및 촉진 기대
- 스마트 건설 규제 혁신센터,, 기업 규제 완화 및 스마트기술 적용 개선위한 서비스 지원
- 스마트 건설의 핵심기술 건설자동화 시범사업 시행
- EHS 기술, 현대 작업장을 변화시키다 ... 안전에 기술을 접목시키는 방법
- 국토안전관리원, 국토안전기술연구원 연구성과 발표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