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한 순간의 기름 유출은 오랜 기간 동안 지역 주민들의 건강과 환경을 해친다. 지난 2007년 12월 7일, 충청남도 태안군 인근 해상에서 선박 충돌로 인하여 1만 2547KL라는 많은 양의 기름이 유출되었다. 이는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기름 유출 사고로, 국내에서 가장 심각한 해양오염 사고로 기록되었다.

 

태안은 지역 주민들이 어업으로 생계를 이어갔기 때문에 더더욱 심각한 물질적, 정신적 피해를 불러 일으켰다. 기름 유출은 지역 주민들의 피해뿐만 아니라, 복구 작업에 나서는 자원봉사자 및 근로자들에게도 큰 위험으로 다가온다. OSHA에 따르면, 고용주는 기름 유출 비상사태에 대응하고 복구 작업에 참여하는 것과 관련된 예상되는 위험으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할 책임이 있다.

 

OSHA는 기름 유출 (dischargeoil)은 환경에 액체 상태의 석유 탄화수소를 방출하는 오염의 한 형태로 정의한다. 국가비상계획 (National Contingency Plan, NCP)은 연방정부의 유해물질 배출을 위한 청사진으로 기름 배출을 유출·누출·펌프·주입·배출·비우기·투기 등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특정 허가를 준수해야 하는 배출은 제외하고 있다. NCP는 기름을 석유, 연료 단계의 기름, 슬러지, 그리고 폐기물이 섞인 기름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기름으로 정의한다.

 

유출에 대한 대응 조치는 OSHA의 위험 폐기물 운영 및 비상 대응 (Hazardous Waste Operations and Emergency Response, HAZWOPER) 표준에 따른 "비상 대응" 활동으로 간주된다. 기름 유출 복구 현장은 위험 폐기물 현장으로 간주되고, 위험 폐기물 현장에 대한 HAZWOPER 요건을 준수해야 한다.

 

기름 유출사고 발생 시 준비해야 할 것

일반 근로자들이 기름 유출 복구 작업에 참여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모든 고용주들과 근로자들은 비상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 OSHA에 따르면 기름 유출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산업은 다음과 같다:

▶ 상업 어업, 새우 및 조개 산업

▶ 관광업

▶ 조선소와 내륙항의 시설 및 운영

▶ 석유 가공 또는 저장 시설의 운영

▶ 송유관 주변 사업체

사업장 근처에서 기름 유출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기름 유출 도중이나 이후 근로자에게 잠재적으로 위험을 미칠 수 있는 것에는 가연성 대기, 유해 화합물, 황화수소 및 미끄러짐, 추락 및 익사와 같은 물리적 위험이 포함된다.

 

OSHA는 고용주들이 기름 유출 비상사태 근처의 기업에서 근로자들을 안전 및 건강상의 위험으로부터 즉시 보호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근로자는 기름 유출이나 기름에 오염된 환경과 접촉하지 않아야 한다. 고용주는 적절한 HAZWOPER 교육을 받지 않은 근로자들이 어떠한 종류의 기름 유출 비상 대응 또는 복구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그들은 대피 절차를 포함한 비상 대응 관계자의 지시를 따라야 한다.

 

기름 유출 위험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시설을 가진 고용주는 근로자 교육 절차를 포함하는 적절한 비상 조치 계획 (Emergency Action Plan, EAP)을 개발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OSHA는 “고용주와 근로자들은 필요한 장비를 갖추고, 기름 유출 비상사태 발생 시 안전하고 건강하게 지내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름 유출 대응 및 복구에 참여하는 작업자는 기름 유출의 위험에 대한 인식을 가져야 하며, 적절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

 

기름 유출 시 대응 방법

OSHA는 기름 유출 비상 대응 작업자는 다음과 같은 위험에 노출될 위험이 높을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 화재

▶ 산소 결핍증

▶ 발암물질

▶ 화학적 위험

▶ 열 및 냉간 스트레스

▶ 중장비로 인한 위험

따라서 기름 유출 대응에 참여하는 작업자는 다양한 개인 보호 장비 (PPE)를 갖춰야 한다. PPE의 필요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리 및 제어 장치를 먼저 사용해야 하지만, 그러한 제어장치가 노출을 효과적으로 최소화하지 못할 경우 PPE가 필요할 것이다.

 

 

※ 본 기사는 https://ehsdailyadvisor.blr.com/ 웹 페이지 내 Back to Basics 시리즈 관련 내용을 참고하였음.

저작권자 ©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