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능 드론 및 관제시스템 고도화
-군집 드론, 통신중계 드론, 들것 드론 중심 연구
-소방드론 이용한 재난현장 골든 타임 확보 주력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지난 9월 14일 충북 금왕읍에서 알츠하이머 노약자 실종 신고 이후 소방드론을 이용하여 구조대상자를 구조하는 등 소방드론의 재난현장에서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소방청은 4차 산업혁명에 발맞춰 최첨단 소방 드론을 활용한 대국민 소방서비스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소방 드론은 2015년 6대를 최초 도입한 이후 현재는 중앙119구조본부 및 전국 시·도 19개 소방본부에 총 372대를 보유 중이며, 소방공무원 중 드론 조종 자격증 소지자는 3,379명이다.
소방드론의 재난현장 출동실적은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화재출동은 753회, △구조·수색 현장에는 1,290회 등 총 2,043회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1.6% 증가하였다.
이에 소방청은 소방 대원의 평균 수직 이동속도보다 16배이상 빠른 드론을 다양한 재난 현장에 활용하기 위해 청주대 산학협력단 등 6개 기관과 협력하여 연구개발 중에 있다.
주요 연구개발 중인 드론은 군집 드론, 통신중계 드론, 들것 드론 등이 있다.
앞으로의 소방청은 장시간 연속 임무 및 안정적으로 기동이 가능한 고성능 드론과 획득한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지휘부로 전송하여 현장 지휘·통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관제시스템 도입 추진 등 드론 활용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박태원 소방청 소방항공과장은 “1분 1초를 다투는 긴박한 재난 상황에서 소방드론의 적극적 현장 활용으로 골든타임을 확보하여 국민 생명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부산소재 신축 건설현장에서 또다시 작업자 추락사,, 올해 50억미만 건설현장에서 169명 사망
- 위험물 저장탱크 배관연결 작업 중 발생한 폭발 사고
- 안전보건활동 영상콘텐츠- ㈜화인 안전보건부
- 수원 슬러지사업소 슬러지 탱크서 매몰사고 발생,, 반복되는 슬러지작업 관련 위험요인?
- 남부지방 가뭄으로 인한 화재 피해 우려 ↑,, 가뭄지역 소방용수 확보 추진
- 제14회 화재조사 학술대회 개최, 화재조사관 감식역량 향상·화재조사기법 발굴 공유의 장 마련
- 용접 작업중 화재 발생으로 인한 사망사고 사례
- 동부건설, ‘드론 활용 건설안전 경진대회’ 최우수상… 스마트 안전관리 현장에 뜨다
백승빈 기자
bin00218@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