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제4차 안전정책조정위원회 개최, 국민안전교육 기본계획 등 논의
-▲ 제2차 국민안전교육기본계획, ▲재난안전의무보험 종합정비계획, ▲초대형 산불발생 대응방안 본격 검토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제2차 국민안전교육기본계획, 재난안전의무보험 종합정비계획, 초대형 및 연중 산불발생 대응방안에 대한 사항과 지자체 협조 등 재난안전관리시스템을 이행하기 위한 정책을 주기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4차 안전정책조정위원회가 개최됐다.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재난 및 안전관리에 관한 주요 정책 등을 사전 검토하기 위해 2022년 제4차 안전정책조정위원회를 진행했다.

 

ⓒ사진제공(행정안전부)
ⓒ사진제공(행정안전부)

이번에 논의된 안건은 ▲ 제2차 국민안전교육기본계획, ▲재난안전의무보험 종합정비계획, ▲초대형 및 연중 산불발생 대응방안에 대한 사항과 지자체에 대한 협조 요청으로 이루어졌다.

 

첫 안건으로 행정안전부는 국민의 일상이 안전한 사회 구현을 위해 국민의 재난·안전사고 예방 및 대처 능력 향상을 목표로 6개 분야 14개 추진과제의 제2차 국민안전교육기본계획을 추진한다.

 

각 기관에서는 매년 국민안전교육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추진과제에 대한 이행실적을 확인하고 행안부에서는 점검 결과를 누리집(www.mois.go.kr) 등에 공유하는 등 실행력을 높이는 방안도 함께 추진하기로 하였다.

 

또한 재난 피해 보상을 위해 법률에 따라 가입을 강제하는 보험인 재난안전의무보험 종합정비계획을 마련하여 추진한다.

 

현재 47종의 재난안전 의무보험이 운영 중이나 보상 한도 차이 등 각 개별 보험 간 적용 규정 상이한 문제점을 도출하여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을 개정 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보종합평가·제도개선 권고·종합정보시스템 연계 등 주요 내용을 정비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 안전정책조정위원회에서는 산림청이 초대형 및 연중 산불발생 대응방안을 마련하였다.

 

최근 기후변화 영향으로 세계 곳곳에서 초대형 산불이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올해 상반기에 618건의 산불이 발생하여 예년(최근 10년 평균 405건) 대비 1.5배가 증가하여 큰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에 따라 산불위험지·취약지 정보 및 지능형 산불위험예보체계 고도화를 통해 산불 예방활동 강화, 헬기·장비·인력 확충 등을 통한 신속한 진화체계 완비로 산불의 대형화 방지 등 대응 방안을 추진한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번 위원회를 통해 논의된 안전교육, 재난안전 의무보험 정비, 산불 예방은 모두 국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내용으로 현장에서 실제로 작동하고 국민에게 알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