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비로 하천 저수지가 범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저수지 둑을 높이는 등의 공사를 진행시 가물막이를 설치하게 된다. '가물막이'는 하천이나 해안 등의 수중 또는 물에 접하는 곳에 수력구조물이나 그 밖의 구조물을 축조시 물의 침입을 막아 물막이 내부를 건조한 상태로 만들어서 큰물이 져도 작업을 계속하기 위해 널말뚝이나 흙 등을 사용해 임시로 막아 놓은 제방이나 댐을 말한다.  

 

이번에 소개할 사례는 저수지 둑 높이기 현장에서 가물막이 무너지면서 발생한 사고이다. 재해당시 공정율은 65%로써 취수탑 가물막이 해체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재해는 가물막이 원형 띠장 해체 작업 중 발생했다.

 

 

재해 개요

피재자 등 근로자 7명이 출역하여 약 30여분 작업 준비 후 8시부터 가물막이 해체공사를 시작했다. 오전에는 8단 원형 띠장 일부 해체 및 가물막이 해체를 위한 사전 준비 작업과 7단 띠장 하부 50cm 지점까지 물채우기를 하고, 7단 가물막이 원형 띠장을 해체하기 위해 산소용접기로 띠장 한 부분을 절단하는 순간 '탕'하는 소리가 나서 상부에서 작업을 지휘하던 작업반장이 근로자들을 지상으로 대피시켰다.

​약 20분 정도 지켜본 후 별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여 해체 작업을 지시하였고, 작업반장이 직접 현장 사무실에 가서 현황 설명을 하고 재해 현장에 도착하자마자 가물막이가 터지면서 2명 사망, 2명이 부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재해 발생 원인

가물막이 설치 시 조립도에 따라 조립을 하여야 하나 쉬트파일, 보강재 및 뒷채움용 철골, 원형 띠장의 용접 및 이음부 연결방법이 미흡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해체 작업 시 가물막이 설치·해체 존치 기간 및 깊이별 수압에 따른 충분한 검토를 통해 해체 단계별 상세한 해체안전작업계획서 부재 해체순서 등을 작성(일부 작성했으나 미흡)하고, 그 계획에 따라 해체 작업을 해야 하나 일부는 실시하지 않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재해 예방 대책

재해 예방을 위해 가물막이 설치 시에는 조립도에 따라 조립을 해야한다. 또한 해체 작업 시에는 상세한 해체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계획에 따라 해체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계측은 설계서에 명시된 계측기를 빠짐없이 설치하고, 해체 작업 중에도 실시하여 변위발생 등을 미리 예측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해체 작업 시 가물막이의 부재의 변형 등​ 이상한 점을 발견 즉시 근로자 대피 후 별도의 보강 조치 후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헌정안전(주): 
http://hj-safety.co.kr

저작권자 ©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