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동바리 상부에서 자재 운반작업 중 작업자 떨어짐 사고 발생 현장/출처-고용노동부
ⓒ시스템 동바리 상부에서 자재 운반작업 중 작업자 떨어짐 사고 발생 현장/출처-고용노동부

추락으로 인한 사망사고는 산업재해 유형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추락으로 인한 사고는 기본적인 안전조치의무를 잘 지키기만 해도 사고율을 많이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에서는 주기적으로 사업장 현장점검 등을 시행하고, 위반시 과태료 부과 및 시정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여전히 사고는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안전보건공단에서는 해마다 사고사례를 중심으로 사업장별로 '중대재해예방 가이드'를 발간하고 있다. 지난해 발생했던 사망사고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와 같은 사고가 또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할 안전보건 조치사항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재해 개요

지난 21일 6월경 비계공으로 일하는 A씨는 충북 청주시 소재 「도시형생활주택 신축공사 현장」 기계식주차장(높이 8.75m) 시스템동바리(: 규격화・부품화된 수직재, 수평재, 가새재 등의 부재를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하는 거푸집 동바리) 상단에서 멍에재(장선을 지지하고 상부하중을 하부구조에 전달하기 위하여 장선과 직각 방향으로 설치하는 부재)를 옮기는 작업 중이었다.

 

작업을 하던 A씨는 몸을 돌리는 순간, 약 7.3m 아래 콘크리트 바닥으로 떨어져 사망했다. 사고원인을 확인결과 현장에는 작업발판과 추락방호망이 설치되지 않았으며, A씨는 안전모와 안전대는 착용하고 있었으나 안전대를 걸지 않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자료출처-고용노동부 2021년 사례로 보는 중대재해예방 가이드 발췌
ⓒ자료출처-고용노동부 2021년 사례로 보는 중대재해예방 가이드 발췌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 대책

이 같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시스템 동바리 설치작업 시에는 작업발판을 설치하도록 해야 한다. 다만, 작업발판 설치가 어려운 경우에는 추락방호망을 설치하거나, 안전대 부착설비를 설치 후 작업을 할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때 반드시 안전대를 착용하고, 안전대 부착설비에 걸어 안전하게 작업을 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스템 동바리 작업시 안전설비 설치 모습/출처- 고용노동부 2021년 사례로 보는 중대재해예방 가이드 발췌
ⓒ시스템 동바리 작업시 안전설비 설치 모습/출처- 고용노동부 2021년 사례로 보는 중대재해예방 가이드 발췌

 또한 현장의 관리감독자는 시스템 동바리 설치작업 시에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하도록 지휘하고, 작업 중 안전대, 안전모 등 개인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꼭 확인해야 한다. 

 

※ 본 기사는 고용노동부 '2021년 사례로 보는 중대재해예방 가이드' 를 참고하여 작성됨.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