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1명이상 사망자가 발생하던 건설사고, 근래 관심도가 높아져.
-안전 관련 자격증 관심도가 높아져 점차 응시율도 많아지고 있음.
-신입은 꺼리고 경력자만 요구하는 현장, 지원체계가 간절할 때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최근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른 관심도가 높아지며 각 종 언론사에서는 건설업의 사망사고를 집중 다루는 추세이다. 안전관련 자격증 열풍도 계속되어 `20년 26,095명(산업안전기사(14,824명), 건설안전(4,694명), 산업안전산업기사(5,473명), 건설안전산업기사(1,104명)의 합격자를 배출한 것보다 작년과 올해 더 많은 합격자를 배출할 것 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안전관리자 채용시 유경력자만 구인하려는 현장의 성향상 신입 안전관리자들의 경력을 쌓기 위한 지원제도 등을 활용하여 기업과 취업준비생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한 시기이다.

 

고용노동부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20년 산재사고사망자는 882명이였고, 그 중 건설업의 사고사망자수는 전체의 51.9% 수준인 458명이였다. 하루에 1명이상 매일같이 사망자가 발생하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건설현장의 사망사고 관련 뉴스를 시민들은 대기업의 사고 혹은 시민들에게 큰 피해를 끼치거나 큰 이슈를 불러일으키지 않은 사망사고는 접할 수가 없었다. 

 

`20년 사고사망재해 총괄 현황표, 건설업에서 전체 51.9%인 458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음을 알수 있다. 출처 : 고용노동부 
`20년 사고사망재해 총괄 현황표, 건설업에서 전체 51.9%인 458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음을 알수 있다. 출처 : 고용노동부 

하지만 최근 중대재해처벌법으로 인한 국민들의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건설현장에서의 사망사고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구별할 것 없이 언론에 노출되고 있다. 그만큼 안전관리에 관한 관심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더불어 각 종 언론사에서 건설업의 사망사고뿐만 아니라 산업현장의 안전관리들을 집중적으로 다루면서 안전과 관련되어 있는 직종인 안전관리자에 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고용노동부에서 지난 10월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워크넷 구인 공고 분석 결과 `18년도 부터 `20년도 까지 주요 업종별 인기있는 자격증 순위에 "안전관리" 자격증은 포함되지 않았다. 

 

2018년 ~ 2020년 구인공고로 본 주요업종별 인기있는 자격증      출처 : 고용노동부
2018년 ~ 2020년 구인공고로 본 주요업종별 인기있는 자격증      출처 :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의 통계를 살펴보면 실제 자격증 취득자 중 산업안전기사의 합격자 배출이 많았고, 구인 구직 순위에도 올라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만큼 1년도 안되는 사이에 안전에 관한 인식이 급격하게 변화되며 안전관리자란 직업에 관한 취업 준비생들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20년 등급별 취득 상위 종목                                                    출처 : 고용노동부
`20년 등급별 취득 상위 종목                                                    출처 : 고용노동부
`20년 산업안전기사 취득현황 [남,여] 모두 계속 증가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출처 : 큐넷
`20년 산업안전기사 취득현황 [남,여] 모두 계속 증가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출처 : 큐넷
`20년 건설안전기사 취득현황 [남.여]모두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출처 : 큐넷
`20년 건설안전기사 취득현황 [남.여]모두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출처 : 큐넷

특히, 안전관리 종목은 남녀노소 할것 없이 전반적으로 자격취득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로 취업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생각보다 많지 않다.

 

 타이트하게 진행되는 산업현장의 여건과 법적 채용인원이 한정되어 있는 안전관리자의 업무 특성상 현장에서는 신입 안전관리자보다는 유경력자를 더욱 선호하기에 신입 안전관리자들은 여전히 취업이 힘든 상황이다. 그럼에도 현장에서는 안전관리자가  품귀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건설업의 대기업 본사 안전보건팀에서 재직중인 A 안전관리자는 이러한 채용 트랜드 변화에 대해 "G사의 안전혁신학교"와 같은 시스템을 도입하여 신입 안전관리자들에게도 기본적인 업무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하여 인재가 필요한 현장에 즉시 투입하여 업무를 볼수 있도록 하는 지원체계가 반드시 확립되어야 현장과 신입 안전관리자 모두가 좋은 결과물을 낼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하기도 하였다.

 

 한편, 안전관련 국가기술 자격증(산업안전기사/산업기사, 건설안전기사/산업기사)을 취득하기 위한 시험 필기접수는 `22. 01. 24. ~ 01. 27. 이며 접수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의 큐넷(www.q-net.or.kr) 에서 온라인으로 진행이 가능하다.

저작권자 ©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