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 생활과 밀접한 안전분야 제도개선 과제 32개 발굴·추진 ... 법적 근거 마련을 통한 분야별 적극적 제도개선 활동 기대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행정안전부는 국민 생활과 밀접한 시설, 산업, 교통, 의료·식품 등의 재난안전 분야에서 제도개선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재난안전분야 제도개선’은 각 분야에서 재난 안전과 관련된 미비점을 사전에 발굴해 개선하기 위해 2018년 도입되었으며, 현재까지 405개의 개선 과제를 발굴하여 이 중 348개 과제를 완료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실내 안전유리 흩어짐 방지 기준 신설과 자동심장충격기 의무 설치 확대가 있다.
특히, 지난 6월에는 관계부처 이행 요청 및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업무추진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면서 이번 개선 작업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행안부는 공공기관과 지자체의 현장 수요와 전문가 자문을 반영하여 총 32개 과제를 확정했다.
주요 개선 과제 중 하나로 소방청은 전기차 화재에 대비해 모든 지하주차장에 화재 감지 및 신속 작동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설치를 의무화할 계획이다. 공연장 외에서 이뤄지는 다양한 형태의 공연의 안전 강화를 위해 문체부는 공연 공간 특성에 맞는 안전 체크리스트와 안전 교육 확대, 사고 발생 시 보고 체계 개선을 통해 안전 관리 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국토부는 어린이 신체에 맞는 안전벨트 기준 마련을 추진하고, 식약처는 자판기 조리식품의 기준을 신설하며, 환경부는 먹는 물의 안전을 위해 조류 경보제를 개선하는 등 생활 속 다양한 제도 개선이 이루어진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정부는 국민의 생활 속 안전 사각지대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제도개선을 통해 사회안전망을 촘촘히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제 2의 이태원 참사 막는다 ... 행안부, 핼러윈 대비 다중운집인파 안전관리 대책 강화
- 17일부터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개정안 시행,, '다중운집인파사고' 등 사회재난 유형 27종 신설
- 루지 체험장, 콘크리트 보온양생 현장 등 '안전사각지대' 해소 위한 안전기준 강화한다
- 전국민 '생활안전' 인식 높인다,, 행안부, '어린이 안전일기 쓰기', '안전교육 콘텐츠' 우수작 선정
- 원인 특정 할 수 없는 '전기차 화재' ... 소방청, 전기차 및 충전시설 화재조사 역량 강화 교육 실시
- ‘가을철 재난·안전 위험요소 집중신고기간’ 운영 시작! ,, 안전신문고로 '축제·인파밀집·어린이 안전 위험' 신고 당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