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지난 2022년 강남 침수 때 하수 맨홀로 시민이 빠져서 사망했고, 태풍 힌남도 때는 포항제철소이 침수됐다. 2023년엔 오송지하차도가 침수되면서 인명피해가 발생했고, 장기간 강우로 인한 산사태 등으로 자연 재해라는 이름으로 해마다 많은 재산피해와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자연 재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 즉, 시설을 보강해서 자연 재해를 예방하면서, 동시에 피해가 발생될 경우를 사전에 미리 대비할 필요가 있다.

지하차도의 경우, 침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시설을 보강해야 한다. 배수펌프용량을 키우고 수배전반을 지상에 옮겨야 한다. 집수정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배수구도 점검해야 한다. 또한, 관경이 작은 배수는 취약하다. 집중호우 때 나뭇잎이나 비닐이 배수구를 덮으면 빗물이 집수정으로 유입되지 못한다. 그래서, 배수구 크기와 구조를 점검하고 개선해야 한다. 침수센서와 진입차단시설 설치도 필요하다.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지하차도가 침수되기 시작하면 진입차단시설을 가동시켜 차량 진입을 통제해야 한다.

 

ⓒ지하차도 지하에 설치된 수배전반 모습(좌측), 지하차도에 설치된 육상배수 펌프(우측) /이미지-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지하차도 지하에 설치된 수배전반 모습(좌측), 지하차도에 설치된 육상배수 펌프(우측) /이미지-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대부분의 대책이 여기까지다. 지하차도 침수를 예방하고, 차량 진입만 막으면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까? 간만의 차이로 진입차단시설이 가동되기 전에 지하차도로 진입한 차량은 어떻게 될까? 차량차량의 시동은 꺼지고, 빗물은 계속 밀려들어온다고 치자. 이때는 어떻게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피해가 발생되었을 때를 가정해서 사전에 대비해야 한다. 생각을 전환하면 지하차도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비상사다리와 인명구조장치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필자는 깊이가 깊고, 길이가 긴 지하차도를 다닐 때마다 비상탈출사다리가 하나도 설치되지 않은 것을 보며 도통 이해가 되지 않았다.

 

이는 모두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 관점에만 초점을 맞추고, 최악의 상황으로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에 대한 대책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관점의 문제다.  

 

ⓒ지난해 12월 수원특례시는 오송지하차도 침수사고 이후 갑작스러운 지하차도 침수에 대비해 침수 위험도가 높은 화산지하차도, 장안지하차도, 고색지하차도, 매여울지하차도 등 4개 지하차도에 비상탈출용 핸드레일과 사다리를 설치했다/사진- 수원특례시
ⓒ지난해 12월 수원특례시는 오송지하차도 침수사고 이후 갑작스러운 지하차도 침수에 대비해 침수 위험도가 높은 화산지하차도, 장안지하차도, 고색지하차도, 매여울지하차도 등 4개 지하차도에 비상탈출용 핸드레일과 사다리를 설치했다/사진- 수원특례시

​필자가 이러한 문제에 대해 지인과 얘기를 나눈 적이 있는데, 그는 "이 모든 것이 날씨 정보가 정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강수량 등을 정확하게 예보해주면 큰 피해를 막을 수 있다. 미리 대비할 수 있는 시간도 벌 수 있다. 기상청에서는 슈퍼컴퓨터를 이용해서 날씨를 예측한다고 하면서 왜 그렇게 정확하지 않은지 모르겠다" 고 말했다.

정말 인간이 자연 현상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가능할까? 어느 정도의 패턴을 분석하면 확률적으로 높고 낮음은 예측할 수 있지만 정확하게 예측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슈퍼컴퓨터를 사용해서 최첨단 모델로 예측한다 해도 여기에는 이미 인간이 가정한 여러 조건들이 들어간다. 이런 변수들로 인해 인간은 자연현상을 완벽하게 예측할 수 없다.

중요한 것은 날씨 정보가 정확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탓을 하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없다는 것이다. 날씨 정보가 정확해도 모든 시설물은 설계 용량이 정해져 있다. 설계 용량 이상의 상황이 발생될 때는 피해가 일어난다. 그러니 '재해로부터 피해를 완벽하게 예방 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해서는 안된다.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함과 동시에 최악의 상황에서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도 함께 고려해야 하도록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 최악의 상황에서 지하차도에 설치된 비상탈출사다리 하나가 소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이종탁의 생각정원: http://blog.naver.com/avt1731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