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근로자들은 2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가공된 나노 물질에 노출되어 왔다.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SHA)에 따르면, 연구 또는 생산 과정에서 나노 물질을 사용하는 근로자는 이를 사용하고 취급하는 방법에 따라 흡입, 피부 접촉 또는 섭취를 통해 나노 입자에 노출될 수 있다.
노출로 인한 건강에 대한 잠재적인 영향은 완전히 연구되지 않았지만 과학적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물질은 사람의 피부에 쉽게 침투할 수 있으며 노출된 실험 동물의 폐에서 독성 반응을 일으켰다.
OSHA의 연구에 따르면 가공된 나노 입자의 독성은 입자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가공된 나노 물질은 거시적 규모의 동일한 물질과 실질적으로 다른, 고유한 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나노 물질의 독성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할 수 있는 특성에는 입자 크기 및 크기 분포, 응집 상태, 모양, 결정 구조, 화학적 조성, 표면적, 표면 화학, 표면 전하 및 다공성이 포함된다.
나노기술이란?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소(NIOSH)는 나노기술을 새로운 구조, 재료 및 장치를 생산하기 위해 거의 원자 수준으로 물질을 조작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 기술은 의학, 소비재, 에너지, 재료 및 제조 부문을 발전시키는 데 사용되었다.
OSHA에 따르면 ▲탄소 버키볼 또는 풀러렌, ▲탄소나노튜브, ▲이산화 티타늄과 같은 금속 산화물의 나노입자, ▲나노 규모의 반도체 소재인 양자점 등과 같은 가공된 나노 재료가 있다.
현재 나노기술을 사용하여 생산되는 제품은 ▲자외선 차단제 및 화장품, ▲얼룩이 지지 않는 의류와 매트리스, ▲노트북,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고분자 필름, ▲더 쉬운 유리 청소를 위한 코팅, ▲자동차의 범퍼 및 촉매 변환기, ▲안경 및 자동차용 눈부심 감소 코팅 등이 있다.
나노기술 근로자 보호를 위한 지속적인 NIOSH의 연구
NIOSH의 나노기술 연구 센터는 나노 재료 제조를 포함하는 첨단 제조가 산업 안전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최신 연구를 추적하고 있다. 2022년 NIOSH 간행물인 ‘기술 보고서: 공학적 나노 물질에 대한 직업적 노출 샘플링’은 세 가지 공학적 나노물질(탄소 나노튜브 및 나노섬유, 은 및 이산화티타늄)에 대한 작업장 샘플링에 대한 지침을 제안했다. 또한 NIOSH는 노출 한계에 대한 규제가 없는 기타 가공 나노 물질에 대한 노출 샘플링에 대한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개발했다.
나노기술 연구 센터의 홈페이지에는 은 나노 물질에 대한 권장 노출 한계 연구와 작업자가 초미립자에 노출되는 3D 프린팅과 관련된 위험 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나노기술 근로자 보호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나노기술과 관련된 OSHA 표준
현재 나노기술과 관련된 특정 OSHA 표준은 없지만 근로자가 나노 물질에 노출되는 상황에는 다음과 같은 일반 산업 표준이 적용될 수 있다.
▶ 기록 보관(29 CFR 1904)
▶ 일반 산업(29 CFR 1910)
▶ 1910 서브파트 I – 개인 보호 장비(1910.32, 일반 요구 사항; 1910.133, 눈 및 얼굴 보호; 1910.134, 호흡기 보호; 1910.138, 손 보호.)
▶ 1910 서브파트 J – 일반 환경 통제(1910.141. 위생.)
▶ 1910 서브파트 Z – 독성 및 유해 물질(1910.1027, 카드뮴; 1910.1200, 위험 커뮤니케이션; 1910.1450, 실험실에서 유해 화학물질에 대한 직업적 노출.
반도체 산업뿐만 아니라 화장품과 같은 일상생활에서도 나노 물질을 쉽게 발견할 수 있는 만큼 연구를 통해 나노 물질에 대한 특성을 자세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후, 파악된 나노 물질 별 특성을 바탕으로 표준을 마련하여 노출이 빈번한 근로자들의 안전을 보호해야 한다.
※ 본 기사는 EHS Daily Advisor의 기사 'Back to Basics: The Risks of Exposure to Nanotechnology'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음.
관련기사
- '방향족 탄화수소' 등 유해물질만 찾아낸다,, 고려대 연구진 "유해가스 인식 전자코" 개발
- 3D 프린터의 위험성을 아시나요? 【공학박사 김 훈】
- 화학사고 유해화학물질도 '인공지능(AI)'로 빠르게 판독한다,, 올해부터 현장 실증 적용
- [전문가 기고] 국내 사업장 보건관리체계 왜 이리 허술한가? - 임종한 교수 편
- 대한산업보건협회, 산업보건 분야 위험성평가 제도의 실효성 확보 위한 정책 토론회 개최
- '호흡보호구 밀착도 검사' 의무인 선진국 VS 분진만 '호흡보호프로그램' 적용인 국내법
- Back to Basics 24부 - 실내 공기 및 겨울철 호흡기 질환 대비
- 고성능 이면의 저성능 보호... 나노기술 근로자는 안전한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