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의 경찰, 소방관 명확한 현장 지침 부여
-재난안전관리법 개정안 적극검토
-인파사고 우려시 사전 경보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그간 다중밀집 인파 사고에 대한 정부의 사전 메뉴얼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아 대규모 참사를 막지 못했다는 비판적 여론이 높아지는 가운데, 행정안전부 주관하에 이태원 참사와 같은 다중 밀집 지역 인파사고를 예방한 관계기관 장관회의가 개최됐다.
지난 3일 문체부장관, 경찰청장, 소방청차장, 교육부 기획조정실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다중밀집 안전 예방 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유사 사고 예방 안전관리 대책 마련을 위한 특별팀(TF) 회의에서 제시된 내용 기반으로 사고 관련 문제점과 향후 개선방안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고 행정안전부는 전했다.
이번 논의를 통해 향후 특·광역시와 50만 이상 대도시를 중심으로 지하철 역사 등에 다중밀집 인파사고 우려시 사전경보, 지하철 환승역 등에 대한 밀집시간대 예방활동 추진, 대규모 밀집행사에 대한 민관협력체계 구축 등을 지자체가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즉시 검토하고 시행하도록 안내하기로 했다.
또한 일선 경찰, 소방관이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명확한 현장 지침과 권한을 부여하고, 과학기술을 활용한 밀집 위험도 감시체계 구축, 재난안전법 개정안 현장 적용가능성 고려 등의 개선과제가 논의됐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재난안전관리 총괄부처로서 현재 안전관리 시스템의 미비점은 없는지 보완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면밀히 살피고 이번 사고에 대한 포괄적이고 근본적인 개선방안을 관계부처, 전문가와 함께 만들어 다시는 이러한 안타까운 사고가 생기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디지털트윈 30부- 디지털트윈 기반의 문제해결 위한 '시스템공학적 접근'
- [이태원 대참사] 또다시 발생한 압사 사고,, 경험해서도 배우지 못하면 그것이 바로 '삼류'
- 제품 생산부터 소비까지 환경을 생각한다,, 환경표지 30주년 기념 '녹색소비 주간' 운영
- 현장에선 작동하지 않는 '안전 관리 시스템',, 되돌이표처럼 반복되는 참사들
- 10월 한달간 600여건 축제 예고,, 인파 밀집 우려 증가로 지역축제 안전점검 대폭 강화
- 재난안전통신망(PS-LTE) 기관 간 활용 등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개정
- 소방청, 27일부터 11월 1일까지 인파해산시까지 핼러윈데이 소방안전대책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