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소개할 재해 사고 유형은 가공식품 도매사업장에서 재해자가 간이리프트 운반구 안에서 운반구 밑판과 2층 바닥 사이에 낀 이동대차 손잡이를 제거하던 중, 이동대차 손잡이가 제거 되자마자 운반구가 갑자기 하강하여 재해자가 2층 바닥과 운반구 상부 구조물 사이에 끼어 사망한 사고입니다.
이와 같은 사고가 또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번 시간에는 간이리프트 수리 작업 시 지켜야 할 안전수칙과 예방대책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간이리프트 수리중 떨어지는 운반구에 끼임
재해발생 주요 원인
작업자가 운반구 낙하방지장치 또는 조치가 되어있지 않은 리프트의 정비작업을 진행하던 중 운반구가 떨어지면서 끼임 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탑승이 금지된 간이리프트의 운반구 안에서 작업을 진행하던 중, 운반구가 갑자기 낙하하면서 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간이리프트 전문가가 아닌 근로자가 무리하게 리프트 수리작업을 진행하다 운반구가 떨어지면서 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재해 예방 대책
간이리프트 운반구에 근로자를 탑승시켜 수리·조정 및 점검 등의 작업 시에는 운반구의 불시하강 등 위험을 막을 수 있는 조치를 하고 작업해야 합니다.
간이리프트의 운반구에는 근로자의 탑승을 금지시켜야 합니다.
간이리프트의 보수·정비작업 등은 제작업체 또는 전문수리업체를 통해 실시하여, 비전문가에 의한 수리·조정·점검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해야 합니다.
헌정안전(주) http://hj-safety.co.kr
관련기사
- 크레인 작업중 인양줄에서 중량물 이탈로 인한 부딪힘 사망사고
- 아파트 승강기 기계실 옥상 방수작업 중 발생한 추락사고
- [야적장에서 발생한 사고] 방음벽 기초용 콘크리트 판넬 사이에 작업자가 끼여 사망,,,
- 한국제강, 크레인으로 작업중 섬유 벨트 끊어지며 1.2톤 철판이 덮쳐 60대 노동자 사망
- 복공판 위에서 작업중이던 굴착기 후미에 부딪혀 작업자 추락사고
- 재개발현장서 주차브레이크 체결 미흡으로 인한 차량 끼임 사고
- 광주 아파트 신축 공사 현장서 펌프카 작업대 부딪혀 작업자 1명 사망,,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여부 검토중
- 크롤러 크레인 붐 연장작업 중 사고 사례
- 리프트 사고사례 현황과 예방- 위험요인별 안전대책
헌정안전
hjsafety@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