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택배·대리기사 등 플랫폼종사자가 일하기 전 안전보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안전보건공단(이사장 박두용)은 플랫폼종사자의 산업재해예방을 위해 정보공유플랫폼(Open-API)인「직종별 플랫폼 재해예방 시스템」을 개발·보급한다고 전했다.
정보공유플랫폼 Open-API는 데이터 플랫폼을 외부에 개방하여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공유하는 프로그램을 말하며, 직종으로는 택배기사, 대리기사, 이륜차 배달기사 등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이 시스템(Open-API)은 플랫폼사 업무용 애플리케이션(APP)에 탑재함으로써, 플랫폼종사자가 작업 전 업무용 APP을 구동했을 때 약 15초가량의 짧은 안전보건 영상이 표출된다. 표출되는 영상은 플랫폼 종사자가 알아야 할 안전보건과 관련된 근골격계질환 예방, 사고예방, 안전운전, 사고사례, 날씨별 주의사항 등 맞춤형 콘텐츠 약 300여종이 제공되며, 특히 근무 지역별 날씨·요일·날짜 등 상황에 적합한 영상이 자동으로 재생된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고자 할 경우, 플랫폼 본사가 공단의 「직종별 플랫폼 재해예방 시스템」누리집(http://service.kosha.or.kr)에서 API인증키를 신청하여 App에 적용하면 플랫폼종사자는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매일 업무 전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공단은 국내 주요 택배업체를 방문하여 시스템 설명회를 가졌으며, 일부 업체에서는 시스템 적용을 적극 추진 중이다.
한편, 이번 시스템은 작년에 제작한 이륜차 배달종사자 시스템에 올해 택배·대리기사를 포함한 것으로, 향후 공단은 안전보건 콘텐츠를 추가로 제작하는 한편, 플랫폼 직종을 확대하여 개발할 계획이다.
이문도 미래전문기술원장은 “많은 플랫폼 종사자가 이 시스템을 활용하여 필요한 안전보건정보를 제공받고 안전하게 일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택배·배달종사자 등 뇌심혈관계질환의 고위험 노동자 건강관리 강화
- 택배기사 및 마트 노동자등 필수노동자의 근골격계질환 예방사업 추진
- 소프트웨어 기술자, 대리운전기사 등 특수형태 근로종사자의 산재보험 적용 확대
-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상자 손잡이 가이드」마련, 내년 설치·확대한다
- 공정과 상식을 무너뜨린 고용노동부! 근골격계질환 인정기준 개정안이 관련 전문가와 경영계를 아연실색케하다
- 산업안전보건공단, 배달플랫폼사 대상 온열질환 예방조치 점검을 위한 리더 회의 개최
- 기업이 지식 공유를 통해 EHS 규정을 준수하는 방법
- 안전보건공단, '직종별 플랫폼 재해예방 시스템' 활용한 '방문판매 점검원' 맞춤 안전정보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