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계획 미수립 및 미준수가 사고의 52%로 주요 요인으로 분석,,
원하청이 함께 근무하는 철강업체, 통합적인 안전관리체계 구축도 필수적,,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박화진 고용노동부(이하, ‘고용부’) 차관은 지난 9월 3일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공단, 4개 철강사 및 한국철강협회 등과 함께 철강산업 사망사고 현황과 정부 정책 방향, 전문가 견해, 참석 기업의 안전관리 계획 등을 논의하기 위해 산업안전보건리더회의를 개최했다.
지난 5년간 철강산업에서는 75명의 사망자가 발생했고, 대부분이 철강 관련 설비.기계 등을 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75명 중 71%인 53명의 사고 기인물이 설비.기계였으며, 사고 발생유형으로도 75명중 20명이 설비.기계 운용 중 끼이거나, 12명은 추락으로 인한 경우 사고였고, 11명은 화재.폭발로 사망했다.
철강산업은 철광석을 녹여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다수의 고위험 설비.기계를 운영하고 위험물질을 취급하고 있어 사망사고 고위험 업종이라고 볼수 있다.
사망사고 세부 원인을 분석한 결과, 총 153건의 원인이 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 작업계획을 수립하지 않거나 준수하지 않았던 경우가 153건 중 79건으로 52% 나 차지했고, 설비.기계 노후화, 끼임 방지 덮개 미설치 등 안전시설을 확보하지 않아 사고가 발생한 경우가 55건으로 36%를 차지했다.
이밖에도 원·하청간의 정보공유 및 소통 부재로 원·하청 동시 작업 중 사망사고가 발생한 경우도 지난 5년간 16명(전체 75명 중 21%)으로 나타났다.
이날 회의에서 고용부는 설비.기계 사용이 많은 철강산업에서는 철저하게 위험요인을 확인하여 작업계획을 수립하고, 계획을 이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사고사망 감축 대책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대형 업체 등 원·하청업체가 동시에 작업하는 경우, 위험요인에 대한 정확한 사전 공유와 작업 중 소통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고재철 전(前)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원장(現 법무법인 화우 고문)은 그간 철강산업에서 일상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산재예방에 많은 인력과 예산을 투입해왔으나 한계가 있었다며, 사망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비일상적이고 간헐적인 모든 작업의 위험요인 등을 예측하고 대비하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포스코, 현대제철 등 철강업체도 안전 조직 인력.예산을 확충하고, 협력사에 대한 안전 관련 지원을 강화하는 등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특히 포스코는 현장에서 작업절차 등이 지켜질 수 있도록 현장 안전관리 인력을 향후 약 550명까지 증원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현대제철은 안전 관련 예산을 약 1,600억원까지 확대하여 기계 및 설비 등의 위험요인을 발굴 개선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박화진 고용노동부 차관은 “철강산업은 대규모 장치산업으로 다수의 위험 기계, 화학물질을 활용하며 투입 인력도 많아 산재 발생 가능성이 크다.”라고 지적하며, “내년 1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앞서 기업이 스스로 위험요인을 확인, 제거, 개선할 수 있는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안전 조직과 예산에 전폭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박차관은 “경영진은 안전경영 방침이 현장에서도 작동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노동자도 안전수칙을 잘 지켜 안전한 사업장이 되길 바란다.”라고 당부했으며, “최근 사업장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지속되는 상황으로 철저한 방역관리와 백신접종이 필요”하다고 독려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