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 이어서 해빙기 건설현장의 위험요인별 안전대책 및 재해사례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해빙기가 위험한 이유는 기온이 0도씨 이하로 떨어지는 겨울철, 지표면 사이에 남아있는 수분이 얼어 붙으면서 토양이 부풀어 오르는 '배부름현상'이 발생하였다가 해빙기가 되면서 동결되었던 지반 융해로 연약화 되면서, 시설무 하부구조(기초)를 약화시켜 균열 및 붕괴를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그 중에서 ' 콘크리트 및 동바리 무너짐 사고 '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고 안전조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콘크리트 펌프카 전도방지 대책]
✔ 펌프카 사용 중
- 펌프카 전면방향(위 그림의 W1방향)으로 붐대 작업 지양
- 아웃트리거 설치지반의 침하 등 이상유무 주기적 확인
※ 콘크리트 송출 시 압력에 의한 진동이 아웃트리거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므로 침하발생 가능
[콘크리트 및 동바리 무너짐 예방]
✔ 위험요인
- 콘크리트 타설 중 거푸집 동바리 붕괴
- 저온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강도발현 지연으로 구조물 무너짐
[콘크리트 및 동바리 무너짐 안전대책]
✔ 거푸집동바리에 대한 구조검토 실시
✔ 거푸집동바리 설치시 유의사항
- 구조검토 후 조립도 작성·준수
- 파이프서포트의 이음은 4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철물을 사용하고 3본 이상을 이어서 사용금지, 높이 조절용 핀은 전용 철물 사용합니다.
- 높이 3.5m 이상은 2m 마다 수평연결재를 2방향으로 설치하고 강재를 수평연결재로 사용할 때는 전용 연결철물 사용합니다.
- 거푸집동바리는 진동, 충격, 편심 등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멍에 등에 견고히 고정합니다.
- 계단 등 경사구간에 설치되는 거푸집동바리는 단판에 하중이 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쐐기 등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설치합니다.
[콘크리트 및 동바리 무너짐 안전대책]
✔ 거푸집동바리 설치시 유의사항
- 층고가 높거나 슬래브의 두께가 두꺼운 중량 구조물인 경우(지하철, 특수구조물 등)에는 시스템 동바리 및 조립강주 등 활용합니다.
- 시스템동바리 구조검토 시 전체 층고에 대한 좌굴 안전성 검토 및 가새 설치 철저히 합니다.
- 파이프 서포트 수평연결재 설치시 전용철물(클램프 등)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설치합니다.
- 상재하중이 지반저면까지 축력방향으로 안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동바리의 수직도 준수합니다.
- 동결되었다가 해빙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콘크리트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어 구조물로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콘크리트의 강도를 수시로 확인합니다.
- 콘크리트 타설 작업 전 펌프카를 설치하려고 하는 장소의 지반상태를 확인하고, 다짐이 되지 않은 흐트러진 상태의 지반, 연약 지반 및 굴착배면 근접 구간일 경우 펌프카 위치 재설정 해야합니다.
위험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눈에 보이는 것에서 한 단계 나아가
행동을 돌아보고, 주변환경을 살펴보며,
절차상의 문제가 위험을 가져오지 않는지 들여다봐야 합니다.
헌정안전 링크: http://hj-safety.co.kr
관련기사
- 해빙기 건설현장 위험요인별 안전대책 및 재해사례
- 해빙기 지반침하로 인한 재해 사고 사례
- 해빙기 절·성토 비탈면 무너짐 사고 사례
- 해빙기 흙막이 지보공 무너짐 사고 사례
- 해빙기 건설현장 위험요인별 안전대책 및 재해사례- 1부 해빙기사고 개요 및 추락사고 사례
- 세트앵커볼트 풀림 원인조사 중 천장 판넬 붕괴사고
- 오수관로 설치 작업중 토사 붕괴사고
- 행안부, 급경사지·산사태 위험지역 등 '해빙기 안전사고' 예방위한 합동 특별점검 실시
- 중처법시행 후 현장점검만 수십건,, 안전을 위한 점검인가, 행정을 위한 점검인가
- 국도 교통부, '해빙기 대비 선제적인 점검'으로 철도안전성 제고
- 건설현장 '추락 사고 예방조치' 집중 점검 예고,, 동절기 건설현장 안전보건 길잡이 배포
- 철근절곡기 하역 중 부러진 나뭇가지에 맞음 사고 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