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정식 도입 앞두고 현대·기아 등 5개 업체 참여 … 12개 항목 안전성 시험 착수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국토교통부는 10월부터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을 정부가 직접 인증하는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시범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제도는 전기차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안전성을 사전에 정부가 시험하여 인증하는 방식으로, 2025년 2월 정식 도입될 예정이다. 이번 시범사업은 제도 조기 안착을 위해 미리 시행된다.
배터리 인증제는 자동차관리법 개정에 따라 시행되며, 전기차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첫 직접 인증 방식이다.
기존에 2003년부터 자동차 제조사가 자체적으로 안전 기준을 확인하고 판매하는 자기인증제도가 시행되고 있었지만, 20여 년 만에 전기차 안전성 강화를 위해 정부가 배터리 안전성을 직접 확인하는 방식으로 전환되는 것이 큰 특징이다.
정부는 9월에 국민들의 전기차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전기차 화재 안전대책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배터리 인증제, 배터리 정보 공개, 안전기능 강화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배터리 안전성 관리 체계를 조기에 정착시켜 전기차의 안전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시범사업에는 현대, 기아, 그린모빌리티, 대동모빌리티, LG에너지솔루션 등 총 5개 업체가 참여한다. 이들 업체는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과 함께 배터리 안전성 시험에 착수할 예정이다. 시험은 열충격, 과충전, 단락, 진동, 침수 등 12개 항목에 걸쳐 배터리의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국토교통부 백원국 제2차관은 “배터리 인증제는 전기차의 안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시범사업을 통해 제도가 빠르게 자리잡아 국민들이 안심하고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