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지압축기 그리스 도포 작업중 협착되어 사망한 사고,,

 작업자의 산업재해사례에서 작업중 압축기의 프레임에 신체일부가 끼어 신체일부를 소실하거나 사망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번 사례는 2019.05.29.(수) 13시 40분경, ○○시 소재 ㈜○○○○ 사업장에서 피재자가 동작중인 폐지압축기의 실린더실 내부 가이드 프레임용레일에 그리스 도포작업을 실시하다 압축기의 가이드 프레임과 개구부 우측면사이에 좌측 상체가 끼어 사망한 재해로, 이와 같은 유사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사고예방은 어떠한 것들을 더 유의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자료출처-고용노동부 천안지청 이근배근로감독관 자료제공

 

재해 발생 원인

  ❍ 정비·청소 등의 작업시 운전정지 미실시
  - 사업주는 정비 등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작업을 수행할 때에 기계의 운전을 반드시 정지하여야 함에도 자동으로 가동한 상태에서 정비 등을 수행하도록 함

 


 ❍ 끼임 위험장소 방호울 제거
  - 끼임 위험이 있는 장소에 근로자의 출입을 막을 수 있는 여닫이형 방호울이 설치되어 있으나, 작동중임에도 방호울을 개방하고 실린더실 내부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

 

 

재해 예방 대책

 ❍ 정비·청소 등의 작업시 운전정지 및 사전 안전조치 실시
  - 기계의 정비 등의 작업시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반드시기계의 운전을 정지하여야 함

 - 운전 정지 후 타작업자의 불시 운전 방지를 위해 기동장치에 잠금장치(LockOut)를 하고, 그 열쇠를 별도로 관리하고 “점검 중 전원 투입 금지” 등의 꼬리표(Tag Out)를 설치하는 등 안전조치를 실시하여야 함
  - 해당 압축기 컨트롤 판넬의 경우, 정비 및 청소시 판넬 안의 메인스위치를 끄고 판넬 문을 잠근 후 열쇠는 작업자가 보관하도록 해야 함

 

 

 ❍ 끼임 위험장소 방호울에 연동장치 설치
  - 끼임 위험이 있는 장소의 방호울은 개방 시 전기적으로 기계의 작동을 정지할수 있는 연동장치를 설치해야 함
  - 뒤쪽 개구부에는 방호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앞쪽 개구부와 동일한 방호울과 연동장치를 설치해야 함

 

 

안전! 
아는 만큼, 실천하는 만큼

지켜낼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고용노동부 천안지청 산재예방지도과」 이근배 근로감독관님의 제보내용입니다. -

안전한 작업장을 위해 애쓰시고 계신 모든 근로감독관님들께 감사드립니다.

저작권자 ©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