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탁생산 사업장의 근골격계질환 관리는
전통문화와 융합이 해답!!
본 내용은 제조업 보건관리자로 16년을 경험하면서 기획하고 추진했던 자료를 토대로 구성하였고, 도입기, 활성기, 정착기 등 다양한 시행착오를 겪은 노하우가 담겨있는 자료이다. 이에 실무자료와 논문을 통해 말하고자 한다.
현 문제점 및 실태
[출처] 한국안전학회, 한국산업보건학회, 대한직업환경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1) 기업에서 유연성과 생산비용 절감에 따라 주문자 상표부착생산(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OEM)과 제조업자 개발생산(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ODM)방식으로 전환하거나 생산의 외주화 진행한다.
OEM은 제품의 생산을 주문한 발주자의 상표를 부착하는 경우이며, ODM은 설계, 개발 능력을 갖춘 제조업체가 유통망을 확보한 판매업체에 제품 등 공급하는 생산방식이다. (수탁생산은 우선적으로 납기와 공급방침이 수립되고 안전보건방침보다 생산방침이 선행된다.)
출처: 화장품제조업 근로자의 화학물질인식도 비교
2) 정규직은 소수관리자 및 일부직책만 선임하고 나머지는 비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추세에 있다. 이처럼 상주인원이 비정규직일 경우는 건강에 더욱더 유해할 수 있다. 비정규직의 경우는 직업의 만족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부적절한 건강관리 및 위험노출, 사망률까지 정규직에 비해 훨씬 높고, 보호조치와 적절한 작업환경에서도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무엇보다도 사업장에서 부적절한 환경 등 개인의 의사표명이 정규직에 비해 자유롭지 않다는 것이다.
출처: 화장품제조업 근로자의 화학물질인식도 비교
출처: 화장품제조업 근로자의 소음인식도와 청력역치 조사에 관한 연구
3) 중소규모사업장의 경우는 국가 산재사고의 70%~80%를 차지하고 있으며, 안전보건정보 및 관심부족, 노하우 부족, 데이터보다는 경험치를 우선으로 관리한다. 또한 재정현실이 매우 열악하여 안전보건관리에 투자를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아울러 1) 2) 3)의 모든 상황에 노출된 다품종 소량생산의 화장품 OEM & ODM제조업은 적기에 생산물품의 납기를 맞춰야하기 때문에 쉴 틈 없이 단순반복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이때문에 작업자들의 근,골격계질환 증상호소가 증가한다.
출처 : 화장품 제조업의 근골격계질환 증상설문 및 유해요인조사 보고서
이에 근골격계질환 예방에 안전보건과 전통문화의 융합으로 초기투자 비용을 절감 할 수 있고, 정서에 맞는 우리 문화로 유연성과 근력강화 및 심폐기능강화 운동인 탈춤체조를 권장한다.
도입(실제사례)
1. 참여대상자
대상자는 OEM 및 ODM 화장품 제조업 근로자 1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근로자의 구성은 사무 및 행정 21명, 생산 41명, 생산지원 11명, 식당미화 6명, 공무설비 10명, 물류 12명이였다. 참여인원 모두는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2. 동작의 종류 및 특성
① 탈춤동작은 국가무형문화제 제49호 송파산대놀이의 춤사위를 응용하였고, 탈춤사위 동작은 기본동작 6가지 건드렁, 여닫이, 배치기, 화장무, 곱사위, 멍석말이 등이 있으며 총 50여가지의 동작으로 응용할 수 있다. (사업장에서는 단계별로 조정하면서 시행 가능함)
② 양쪽을 병행으로 균형을 유지, 평소 반대로 펼치는 이완, 근력강화 및 유산소운동이다. (출처 : 안전보건공단 교육원 체력증진 및 운동요법과정)
데이터 분석(사업장 도입 후 근로자에게 물어본 설문과 분석)
1. 증상호소
통증호소는 총216건으로 조사되었고 부위는 어깨와 요추와 흉추가 가장 많았으며, 어깨 54건, 목34건, 요추 및 흉추 29건, 손목 25건, 무릎 23건, 팔 21건, 발목 11건, 손가락 10건, 엉덩이 5건, 허벅지 3건, 기타 1건 순으로 조사되었다.
2. 탈춤운동 및 교육 도입 후 만족도
탈춤의 구체적인 효과측면에서는 허리근육강화 53건, 스트레칭 효과 34건이었고, 동작의 효과측면에서는 멍석말이 40건, 곱사위 36건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탈춤 만족도는 매우 만족과 만족이 92건으로 나타났으며, 이론교육과 비교시 매우 만족과 만족이 60건이었다.
3. 그 외의 효과들
인간공학 및 근골격계질환 인식도 비교에서 생산부서근무자 75.8%에서 81.6%로 상승/ 물류근무자 72.9%에서 77.9%로 상승하였다.
건강검진시 간장질환, 고혈압, 고지혈증, 빈혈 등 유소견자 5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요통재해에서도 무재해 7년 연속달성 및 요통무재해는 9년연속달성이라는 효과를 보였다. 이로 인해 산재보험료 절감효과도 나타났는데 약 6천만원에서 약 1천8백만원정도로 동종업계 최저산재보험료 납부를 하게 되었다.
특히 한국화장품 생산직 직원들에게 지속적인 탈춤체조 시행 후, 근골격계질환 증상호소완화 (어깨와 허리의 매우 심한통증과 심한통증 9개월 이후 감소) 및 산재보험료 절감효과를 얻었다.
전문가 검토의견
미국산업위생학회(AIHA)인간공학 session 중 최고발표와 연구라고 인정받았다.(Dr. Mary O'Reilly 좌장(교수)) 또한, 한일심포지엄, 일본 노동과 과학 학술지에서는 한국무형문화재를 산업재해예방에 도입한 것에 대한 우수성 인정하였고, KBS 「수요기획 하루10분의기적」에서는 탈춤사위가 관절을 모두 움직일 수 있는 동작으로 구성되었고, 낮은 동작(천천히 발을 옮김)부터 큰 동작(점프)으로 구성되었으며, 혈액순환 증가와 운동량이 상당하기 때문에 과학적으로 심장 박동수를 차츰 증가함 이에 두뇌 활성화에도 효과가 있다고 평가되었다.
「뇌파 락싸 연구소」에서는 탈춤운동 전과 후의 뇌파검사를 통하여 운동후에 뇌의 활동화여부를 확인하였는데, 탈춤운동후 뇌의 이완 및 각성지표가 활성화를 보이며 그 효과를 증명하였다.
또한 안전보건 교육경진대회 대상작품(요통예방과 탈춤)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제언
전사적으로 체계적인 근골격계질환 예방시스템을 도입하고, 사업장 능력에 맞게 인간공학 대책 프로그램의 운영계획을 수립한다. 무엇보다도 수립된 계획을 실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여 우리 전통문화 탈춤운동을 새로운 융합의 근골격계질환 예방대책으로 제시한다.
재단법인 정해산업보건연구소
http://www.jioh.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