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화형 AI 검색·분석 시스템 도입 ... 산업안전보건분야 검색부터 요약ㆍ추천까지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안전보건공단ㆍ산업안전보건연구원(원장 김은아)은 연구성과 접근성 강화를 위해 AI 기반의 연구자료 검색·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신규 서비스는 자연어 대화방식으로 정보를 찾아주는 “ChatGPT”를 기반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별도의 사용법 교육 없이도 쉽고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입력창에 “산업안전보건분야의 주요 정책연구에 대해 요약해줘”라고 입력하면, 연구원이 보유한 연구자료를 찾아서 자동으로 요약·출력하는 방식이다.
연구원은 이와 같은 대화형 서비스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지난 ‘89년도부터 현재까지 만들어진 총 3,614건의 자료를 AI에 학습시켰다. 해당 자료는 연구보고서 2,131건, 역학조사 보고서137건, 흡입독성시험결과 및 보고서 170건 등으로 구성됐다.
또한, 서비스 사용 시 ▲손쉬운 방식의 연구본문 상세검색 ▲검색된 정보의 융합 및 요약 ▲유사문서 자동추천 ▲산업안전보건법 등 관련한 최신 법률도 함께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검색결과의 전문성과 편의성을 높였다.
신규 서비스가 관련 연구자들이 연구 분야의 벽을 허물고 연계성을 높이는 등 연구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현업 실무자들도 다소 어려운 연구 결과를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게 되어 현장 적용성도 높아질 전망이다.
올해 연구원은 AI를 활용한 연구의 활성화에 대비하여 “ChatGPT를 활용한 연구 보고서 작성 커리큘럼” 교육을 운영 한 바 있다. 또한 AI가 추출한 결과사용 시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논문작성 시 반드시 검증을 하도록 내부 지침을 개정하는 등 새로운 변화에 발맞춰 자체 시스템도 개편할 계획이다.
김은아 연구원장은 “최신 AI기술은 산업안전보건 연구성과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적용사업 확대를 통해 산업안전보건 연구의 질을 높여 안전일터 조성에도 기여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AI 기반의 연구자료 검색·분석 서비스는 연구원(http://(https://oshri.kosha.or.kr) 누리집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관련기사
- 기술 혁신으로 안전을 높이는 미래,, AI 기술이 접목된 '자율주행 굴삭기' 개발
- 근로자 신원 및 건강상태, 단 10초면 알수 있다? AI 기술 탑재한 비접촉 생체신호 측정 솔루션
- GPT로 알아보는 가을철 안전사고,, 인공지능 분석을 통한 위험요인과 재해 예방법?
- 건설기준 검색시 신속·정확하게,, 건설분야 특화된 인공지능 프로그램 개발 본격 착수
- 디지털트윈이야기 35부- AI가 생각하는 '디지털트윈 기반 재난방재시스템'
- 디지털 트윈을 이용한 건설 안전 관리....이제는 안전도 스마트 시대
- 시각적 AI 활용을 통한 안전관리 방법
- CJ 로지스틱스 아메리카, 지게차 사고 예방위해 전 물류센터에 ‘원트랙 AI 시스템’ 적용
- EHS 기술, 현대 작업장을 변화시키다 ... 안전에 기술을 접목시키는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