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친화 경영의 효과 및 도입 방안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과거 개인의 건강은 개인의 책임으로 여겨졌다. 심지어 국가에서 제공하는 의무 건강검진마저 주말이나 연차를 활용해야 하는 기업도 있을 정도로, 많은 기업에서는 임직원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크게 부족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임직원의 복지를 위해 종합 건강검진 서비스를 제공하고, 직무 관련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멘탈 케어 서비스와 만성질환(당뇨, 고혈압, 이상지질, 비만 등) 유소견 임직원을 위한 피지컬 케어 프로그램도 제공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5조에 따르면, 사업주는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시키는 책임이 있다. 또한 근로자의 신체적, 정신적 피로 및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쾌적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고 근로 조건을 개선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이는 임직원의 건강 관리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기업의 공동 책임임을 확연히 보여준다.
법적 규정 준수나 복지 제도의 한정된 시각을 넘어, 기업의 가치와 연계하여 임직원 건강을 바라본다면, 조직 성장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서 ‘건강친화 경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그렇다면 ‘건강친화 경영’은 어떤 관점에서 조직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을까?
조직 생산성 향상
근로자가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다면 더 나은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다. 건강한 상태에서 일하는 직원은 높은 업무 몰입도를 바탕으로 업무에 더 집중하고, 열정과 헌신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으며 병가나 부상으로 인한 결근이 적다. 따라서 건강친화 경영은 기업의 전체적인 생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우수 인적자원 유지관리
건강친화 경영은 궁극적으로 조직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임직원 건강 증진에 대한 투자는 단기적인 비용으로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높은 가치로 회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직원들 사이 협력과 팀워크를 강화하며, 그 결과 우수 인력의 이탈률을 줄여 인력 획득과 교육에 따른 기회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경제성
미국질병관리청에서 직장건강 프로그램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20년에 걸쳐 장기간 연구를 수행한 결과, 직장건강 프로그램 (EAP, Employee Assistance Program) 참여 시 의료비와 결근에 따른 지출이 20~30% 감소했다. 웰빙 프로그램을 도입한 사업장에서는 투자비용 대비 의료비용 감소로 3.27배의 수익이 발생했고, 결근 감소로 2.73배의 수익이 발생했다. 조직의 건강친화 경영은 단순 복리후생의 일환이 아닌, 기업의 경제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법적 요구사항 준수 및 리스크 예방
조직은 산업안전보건법, 중대재해처벌법 등 직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한다. 건강친화 경영을 통해 법적 요구사항을 준수함과 동시에 안전한 작업환경 확보를 통해 발생 가능한 리스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ESG 경영을 통한 지속가능 성장 동력 마련
건강친화 경영은 ESG 경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환경(E: Environment), 사회(S: Social) 및 지배구조(G: Governance)와 관련된 경영 활동을 의미하는 ESG 경영은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속 가능성을 추구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건강친화 경영은 기업의 ESG 경영의 Social 요소를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조직의 안전보건경영을 강화하고, 인간존중의 조직문화를 구현하는데 큰 기여를 한다.
이렇게 건강 친화경영의 가치는 임직원의 건강증진에서 출발하여 조직의 생산성과 ESG 경영 강화로 확장될 수 있다. 그렇다면 기업이 건강친화 경영을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할까? '건강친화기업 인증제도'가 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건강친화기업 인증'은 직장 내 건강친화적인 문화와 환경을 조성하고, 직원들의 건강관리 활동 지원 등을 중점으로 모범적인 건강친화제도를 운영하는 기업에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다. 국민건강증진법 제6조의2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장관은 건강친화 환경의 조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건강친화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기업에 대하여 건강친화인증을 할 수 있다''고 규정되어 있다.
인증 심사는 건강친화경영, 건강친화문화, 건강친화활동, 직원만족도 등의 4개 부문을 기준으로 진행되며, 기업의 유형에 따라 각각의 지표에 근거한다. 이 심사 과정은 서류 검토, 현장 심사, 그리고 직원 만족도 조사를 포함하며, 인증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최종적으로 인증이 부여된다.
건강친화 경영의 도입은 조직의 전략적이며 운영적 결정에 속한다. 이 제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건강친화경영 및 환경 조성을 통해 근로자 건강 증진과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수 있다. 이를 위한 필수 요건은 다음과 같다.
1) 최고경영자의 리더십, 의지, 실행 책임 및 결과 책임
2) 최고경영자에 의한 조직문화 개발 및 증진활동
3)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4) 임직원과 임직원 대표의 협의 및 참여
5) 필요 자원
6) 전략적 목표와 방향에 부합하는 방침
7) 효과적인 프로세스
8) 성과평가와 모니터링 활동 (목표관리)
9) 기존 업무 프로세스와의 통합
10) 법적 요구사항 및 그밖의 요구사항 준수
ISO 45001 안전보건경영시스템에 근거하여 작성된 해당 요건들은 조직의 상황 (규모, 인원, 문화, 조건, 적용 법적 요구사항 등), 산업안전보건 리스크의 성격 및 조직의 활동에 따라 범위 및 자원이 좌우된다.
현대 경영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피터드러커는 <최고의 질문, Peter Drucker’s Five Most Important Questions>이라는 책에서, 조직의 혁신과 지속가능성이라는 담대한 여정을 위해 5개의 질문을 항상 제기하고 그 답을 찾는 과정이 리더의 의무라고 했다.
1st. 우리의 미션은 무엇인가? (우리는 왜,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2nd. 우리의 고객은 누구인가? (우리가 반드시 만족시켜야 하는 대상은 누구인가?)
3rd. 고객 가치는 무엇인가? (고객은 무엇을 가치있게 생각하는가?)
4th. 결과는 무엇인가? (어떤 결과가 필요하며 그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5th. 계획은 무엇인가?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임직원 건강증진을 최우선으로 하고, 건강친화 경영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기업의 시각에서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 보았다.
우리의 미션은 무엇인가? 우리의 미션은 임직원 건강을 증진을 통해 조직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건강한 직원은 업무 성과를 높이고, 생산성 및 업무 효율성 증진에 기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외부고객에게 더 큰 가치를 제공한다.
우리의 고객은 누구인가? 우리의 고객은 조직 내 모든 임직원이다. 그들은 우리의 내부 고객이며, 그들의 건강은 조직의 전반적 성과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고객 가치는 무엇인가? 임직원은 건강, 안전, 업무-생활 균형, 스트레스 관리 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들은 조직이 이러한 가치를 인정하고, 지원할 것을 기대한다.
결과는 무엇인가? 우리는 건강하고 활기찬 직장 환경, 임직원의 높은 업무 만족도, 향상된 생산성, 그리고 조직의 목표 달성을 추구한다. 건강친화 경영의 도입과 유지는 이러한 결과물을 실현하는 핵심 요인이다.
계획은 무엇인가? 우리의 계획은 건강친화 경영을 조직에 도입하고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건강 프로모션 프로그램, 건강한 업무 환경의 조성, 피지컬 및 멘탈 케어 지원, 건강 증진 관련 교육 등의 건강친화 활동의 궁극적인 목표는 조직의 지속가능한 성과 창출 및 가치 증대에 있다.
우리는 현재 이 질문에 어떠한 답을 내릴 수 있는 조직인가?
우리는 앞으로 이 질문에 어떠한 답을 내리는 조직이 될 것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