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차 재난안전통신망 기본계획(2022~2026) 수립
- 국민 안전 핵심 플랫폼의 안정적 운영, 재난 관리 인프라 증축 등이 주요목표
- 재난안전 관련기관이 재난·재해에 효과적 대응 가능 운영환경 계획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제96차 중앙안전관리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 서면심의를 통해 제1차 재난안전통신망 기본계획(2022~2026)이 의결되었다고 밝혔다.
재난안전통신망은 경찰, 소방, 해경 등 재난 관련 기관별 통신망을 일원화하여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하는 전국 단일 통신망으로, 피에스 엘티이(PS-LTE, Public Safety-LTE) 기반으로 지난해 세계 최초로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이번에 수립된 제1차 재난안전통신망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재난안전통신망의 실행력 확보를 위하여 재난안전통신망 시행계획을 매년 수립·시행할 예정이다.
기본계획은 체계적인 재난의 예방·대비·대응·복구 등 급변하는 환경 대응에 초점을 맞춰 수립되었으며 ▴국민 안전 핵심 플랫폼의 안정적 운영, ▴재난 및 안전관리 서비스 확대,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기반(인프라) 구현, ▴더불어 성장하는 산업 생태계 조성의 네 가지 추진전략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4가지의 세부과제를 담았다.
먼저 재난안전통신망 고도화에 따른 서비스 품질을 제고하고, 운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보안 대응 체계를 강화하여 국민 안전 핵심 플랫폼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둘째, 사용자 편의성 향상을 위해 단말기 보급 확대, 교육·훈련을 통한 재난대응 능력 강화 및 특화 서비스 개발·도입 등 재난 및 안전관리 서비스를 확대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셋째, 안정적인 통화권 확보를 위해 무선망 확대, 차세대 재난안전통신망 도입 추진, 지능형 서비스 공통 플랫폼을 확충하여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기반(인프라)을 구현한다.
마지막으로는 상생 협력체계 마련 및 법·제도 개선, 핵심기술 확보를 통해 산업활성화 기반 조성, 한국형 재난안전통신모델(K-SafeNet)의 국제적 진출 등을 목표로 더불어 성장하는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번 제1차 재난안전통신망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경찰, 소방 등 재난안전 관련기관이 재난·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운영 환경이 마련되었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