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77개 사업 24.3조 원 요구 지난해 보다 13.5%↑
- 재난 선제적 대비, 인명 피해 최소화, 시설안전강화, 국민안전 확대 등 4대 목표 설정
- 국민 안전을 위해 예산을 적재적소에 투자 노력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정부 재난안전예산의 투자 효율성 제고를 위한 2023년 재난안전예산 사전협의을 중앙안전관리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의 심의를 거쳐 6월 30일 기획재정부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재난안전예산 사전협의는 행안부에서 각 부처 예산요구서 등을 검토하여 6월 30일까지 투자방향, 우선순위 등을 기획재정부에 통보하고 기재부에서는 사전협의 결과를 토대로 내년도 재난안전예산 정부안을 편성하는 제도이다.
연구개발(R&D) 사업을 제외한 전체 중앙행정기관이 요구한 내년도 재난안전예산 규모는 총 377개 사업 24.3조 원으로 올해(21.4조, 연구개발사업 제외)보다 13.5% 증가한 수준이다.
분야별로는 사회재난 및 안전사고 분야(26개 유형)가 12.6조 원 (51.9%)으로 가장 많고, 자연재난 분야(9개 유형) 5.7조 원(23.5%), 재난구호·복구 등 공통 분야(8개 유형) 6.0조 원(24.6%)이다.
행안부는 2023년 사전협의(안) 마련을 위해 과거에 발생한 피해 현황, 최근 현안이 집중된 위험요인 및 향후 위험전망 분석을 토대로 4대 목표 및 6대 중점투자방향을 선정하였다.
또한 투자우선순위에 △새로운 재난 선제적 대응역량 제고 △재난으로부터 국민 생명․재산 피해 최소화 △기반시설 및 생활 안전 강화 △포용적 안전관리 강화 등에 중점을 두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대형산불, 건축물 붕괴사고 등 대형재난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예상치 못한 새로운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선제적인 재난안전투자가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