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OSHA는 OSHwiki 커뮤니티를 통해 최근 코로나등으로 업무환경이 사무실에서 가정으로 변경되고, 이로 인해 증가하고 있는 텔레워크(telework)들의 근골격계 장애(MSD)에 대한 예방을 위한 내용들을 소개했다. 

 

OSHwiki는 작업장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하기 위해 정부, 산업 및 직원 조직을 지원하고, 산업 안전 및 보건(OSH) 지식, 정보 및 모범 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EU-OSHA에 의해 개발된 온라인 백과사전 커뮤니티이다.

 

OSHAwiki 에서 최근 발행한 "위험 평가 및 원격 작업-체크리스트" 의 내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근골격계 질환 예방방법에 대해 함께 생각해보고자 한다. 

 

텔레워크(telework)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및 데스크톱 컴퓨터와 같은 정보통신기술(ICT)을 수행하는 것으로, 사무실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일하는 모바일 업무를 말한다고 소개했다. 보통 재택근무가 가장 흔한 현상으로 해당기사는 재택근무라고 하는 재택근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디지털화와 신기술의 가용성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직장인들이 재택근무를 할 수 있게 되었다. 화상회의 통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및 WIFI 가용성과 같은 기술과 도구를 통해 근로자들은 동료들과 소통하고 연결을 유지할 수 있어 통근 시간을 상당히 절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재택근무는 몇 년째 증가하고 있다.

 

규제 프레임워크

기사에서는 2002년의 재택근무에 관한 유럽 기본 협약은 재택근무자가 고용주의 구내에서 일하는 근로자와 동일한 보건 및 안전 보호권으로부터 혜택을 받도록 보장하는 규칙을 규정하였으며, 직업상 위험을 예방하고 위험성을 평가하고 위험도를 줄이는 것은 여전히 고용주의 책임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여러 국가(즉, 대부분의 유럽 국가)는 추가 규정을 발표함으로써 유럽 법률의 정신을 강화했는데 예를 들어, 벨기에는 재택근무자가 작업장의 조정, 스크린의 올바른 사용 및 기술과 ICT 측면에서 지원과 같은 예방 조치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와 지침을 받아야 한다고 권고하는 CLA(즉, 단체노동협정)를 발행했다. 이 지침과 예방 조치는 다원적 위험 평가에 기초하고 있다.

 

재택근무와 관련된 산업안전보건위험

재택근무는 출퇴근을 하지 않아 시간이 늘거나 스트레스가 적거나, 일과 삶의 균형이 좋아지고, 자율성이 높아지며, 집중력이 향상되고, 생산성이 높아지는 등의 잠재적 장점이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재택근무는 노동자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단점과도 관련이 있다.

 

연구에 따르면 재택 근무자는 상사의 기대를 충족하거나 초과하기 위해 집에서 더 오랜 시간 일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 결과 그들은 사무실에서보다 더 적은 업무 중단으로 더 오랜 시간 동안 앉아 있다고 전했다.

 

 이는 열악한 인체공학적 가정용 작업대와 결합할 경우 근골격계 질환과 같은 건강 문제의 발생 또는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텔레워크는 종종 일과 가정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동료와의 고립이 증가하며, 동료와 감독자의 대면 상호작용과 지원의 부족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OSHAwiki는 일주일에 2.5일 이상 재택근무를 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동료 관계에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또한 배경 소음, 고온과 저온 및 열악한 공기 질과 같은 작업 환경과 관련된 위험은 원격 근무자의 건강과 복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비틀거림과 추락 위험(예: 유동 네트워크 또는 노트북 케이블) 또는 전기적 위험과 같은 안전성 문제가 재택근무 중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재택근무와 관련된 위험 평가(및 관련 과제)

EU-OSHA는 재택근무에 참여하는 조직은 재택근무와 관련된 직업 및 안전 위험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책과 절차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재택근무자와 고용주의 관점에서 다요소 위험평가는 재택근무와 관련된 위험요소를 식별하는 데 필요한 첫 번째 단계라고 설명한다.

 

<위험 평가(RA)를 수행하는 방법>

1단계: 텔레워크와 관련된 각 위험 도메인의 위험 영역의 위험을 식별하고 위험에 처한 텔레워커를 식별한다.

2단계: 심각도 및 해를 끼칠 확률측면에서 위험을 추정하고,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가장 중요한 우선 순위를 먼저 해결한다.

3단계: 예방대책 이행을 위한 적절한 예방대책, 예산, 시기를 결정한다.

4단계: 제안된 예방/실천 계획을 구현한다.

5단계: 정기적으로(재평가)하여 예방 조치의 평가와 영향을 평가합니다. 필요한 경우 평가 및 예방 /행동 계획을 조정하십시오.

 위험성 평가는 작업대의 인체공학측면과 장비, 작업 환경, 심리사회적 요인, 작업 조직 및 재택근무와 관련된 안전 위험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근골격계 예방 및 실행 계획을 향해 다음 단계를 밟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직원들이 재택근무를 하더라도 위험도 평가 수행 책임은 사업주에게 있다고 말했다.

 

가정 상황에 대한 위험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한데, 대부분의 경우 직원은 이 평가를 직접 수행해야 하며, 집에서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예방 상담가의 방문이 필요할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직원의 동의와 함께 홈 오피스에 액세스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OSH 전문가가 위험 평가를 수행하게 된다.

 

OSHAwiki는 올바른 자료를 제공하고, 직원들이 적절하게 교육을 받고, 사회적 고립을 방지하기 위한 충분한 조치가 취해지는지 조직 차원의 분석 수행 역시 중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EU-OSHA가 말하고 있는 재택근무자들에 대한 위험성 평가가 규제화되지는 않고 있다. 위드코로나시대에서 재택근무 형태는 더욱 증가되고 있고, 이러한 작업환경에 대한 위험성 평가와 관리대책은 충분히 마련되지 않고 있다.

 

산업재해중 질병으로는 뇌심혈관계질환에 이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재택근무에 대한 위험성 평가과 관리지침등의 마련이 필요하다.

 

※ 참고 자료 : European Agency for Safety and Health at Work, 'Risk assessment and telework - checklist' 

https://oshwiki.eu/wiki/Risk_assessment_and_telework_-_checklist

저작권자 ©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