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만 안 본 뉴스 울산화력발전소 붕괴사고, 200시간의 사투 끝에 마지막 매몰자 수습… “해체공정 안전기준 전면 재검토 불가피” [ SIF 안전문화 Ⅴ ] BBS를 넘어 PBS로: 사람을 탓하지 않고 행동을 이해하는 법 엠라인스튜디오, 독일 A+A 2025서 글로벌 기업·기관의 집중 조명… XR 안전교육 기술력 부각 [베테랑 건설안전전문가의 시선] 발주자 안전책임, 해외는 ‘의무’… 한국은 왜 제도화 못했나 안전관리 왜곡 묘사에 대한 현장의 우려와 제언 울산화력발전소 붕괴사고, 200시간의 사투 끝에 마지막 매몰자 수습… “해체공정 안전기준 전면 재검토 불가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기사 댓글 9 댓글 접기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댓글 내용입력 비회원 로그인 이름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회원 로그인 비회원 글쓰기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로그인 옵션 창닫기 댓글목록 최신순 작성순 추천순 욕설, 타인비방 등의 게시물은 예고 없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김주헌 2022-02-03 21:49:22 더보기 삭제하기 안전관리 업무가 정상적인 공정추진에 걸림돌이라는 인식과 기자가 이야기하는 안전관리자의 비정규직 고용문제가 중대재해발생원인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펨트리 2022-02-03 15:08:58 더보기 삭제하기 중대재해처벌법 취지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지만, 급한불부터 끄고 보는 법이라는 느낌이 큽니다. 애초에 중대재해의 가장 큰 원인은 고용구조에 있었으나 국가에서 고용구조를 바꾸려는 노력은 크게 보이질 않아서 화가 나네요. 문정부도 처음 공약은 공공부문이라도 비정규직 제로로 만들겠다고 했지만 전혀 지키지 않았죠... 현장노동자 2022-02-03 14:46:33 더보기 삭제하기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로 공감합니다. 박종현 2022-02-03 14:32:48 더보기 삭제하기 안전관리체계의 살효적 운영을 위한 예리한 지적 지나가던행인 2022-01-31 14:54:09 더보기 삭제하기 안전에대하여 구체적으로 서술부탁드립니다. 처음12다음다음끝 주요기사 드라마 장면으로 재조명된 안전관리 인식 현주소 안전관리 왜곡 묘사에 대한 현장의 우려와 제언 [ SIF 안전문화 Ⅴ ] BBS를 넘어 PBS로: 사람을 탓하지 않고 행동을 이해하는 법 온세이프티, 직업건강협회와 산업안전보건 교육의 디지털 전환 동행… 교육 접근성 강화 나서 진성전문가되기 82부 - 평균의 함정, 지반 설계의 착각 : 가상에서 맞춤으로 율촌·숭실안전보건포럼, 노동안전정책 강화 이후 현장 컴플라이언스 해법 모색
당신만 안 본 뉴스 울산화력발전소 붕괴사고, 200시간의 사투 끝에 마지막 매몰자 수습… “해체공정 안전기준 전면 재검토 불가피” [ SIF 안전문화 Ⅴ ] BBS를 넘어 PBS로: 사람을 탓하지 않고 행동을 이해하는 법 엠라인스튜디오, 독일 A+A 2025서 글로벌 기업·기관의 집중 조명… XR 안전교육 기술력 부각 [베테랑 건설안전전문가의 시선] 발주자 안전책임, 해외는 ‘의무’… 한국은 왜 제도화 못했나 안전관리 왜곡 묘사에 대한 현장의 우려와 제언
기사 댓글 9 댓글 접기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댓글 내용입력 비회원 로그인 이름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회원 로그인 비회원 글쓰기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로그인 옵션 창닫기 댓글목록 최신순 작성순 추천순 욕설, 타인비방 등의 게시물은 예고 없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김주헌 2022-02-03 21:49:22 더보기 삭제하기 안전관리 업무가 정상적인 공정추진에 걸림돌이라는 인식과 기자가 이야기하는 안전관리자의 비정규직 고용문제가 중대재해발생원인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펨트리 2022-02-03 15:08:58 더보기 삭제하기 중대재해처벌법 취지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지만, 급한불부터 끄고 보는 법이라는 느낌이 큽니다. 애초에 중대재해의 가장 큰 원인은 고용구조에 있었으나 국가에서 고용구조를 바꾸려는 노력은 크게 보이질 않아서 화가 나네요. 문정부도 처음 공약은 공공부문이라도 비정규직 제로로 만들겠다고 했지만 전혀 지키지 않았죠... 현장노동자 2022-02-03 14:46:33 더보기 삭제하기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로 공감합니다. 박종현 2022-02-03 14:32:48 더보기 삭제하기 안전관리체계의 살효적 운영을 위한 예리한 지적 지나가던행인 2022-01-31 14:54:09 더보기 삭제하기 안전에대하여 구체적으로 서술부탁드립니다. 처음12다음다음끝
김주헌 2022-02-03 21:49:22 더보기 삭제하기 안전관리 업무가 정상적인 공정추진에 걸림돌이라는 인식과 기자가 이야기하는 안전관리자의 비정규직 고용문제가 중대재해발생원인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펨트리 2022-02-03 15:08:58 더보기 삭제하기 중대재해처벌법 취지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지만, 급한불부터 끄고 보는 법이라는 느낌이 큽니다. 애초에 중대재해의 가장 큰 원인은 고용구조에 있었으나 국가에서 고용구조를 바꾸려는 노력은 크게 보이질 않아서 화가 나네요. 문정부도 처음 공약은 공공부문이라도 비정규직 제로로 만들겠다고 했지만 전혀 지키지 않았죠...
주요기사 드라마 장면으로 재조명된 안전관리 인식 현주소 안전관리 왜곡 묘사에 대한 현장의 우려와 제언 [ SIF 안전문화 Ⅴ ] BBS를 넘어 PBS로: 사람을 탓하지 않고 행동을 이해하는 법 온세이프티, 직업건강협회와 산업안전보건 교육의 디지털 전환 동행… 교육 접근성 강화 나서 진성전문가되기 82부 - 평균의 함정, 지반 설계의 착각 : 가상에서 맞춤으로 율촌·숭실안전보건포럼, 노동안전정책 강화 이후 현장 컴플라이언스 해법 모색
기자가 이야기하는 안전관리자의 비정규직 고용문제가 중대재해발생원인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