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협력운용팀 편성하여 여름철 오존 취약시기에 사업장 감시 추진
드론(무인기) 운영인력 교육도 실시할 예정
드론 운영 안정성 향상 기대돼,,

 

ⓒ 무인기(드론) 측정장비와 측정모듈 / 출처-환경부
ⓒ 무인기(드론) 측정장비와 측정모듈 / 출처-환경부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환경감시용 드론(무인기)의 활용도를 개선하기 위해 민간드론협회와 국립환경과학원, 8개 유역(지방)환경청이 참여하는 민관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7월 26일~8월 31일(오존 취약시기)에 사업장 특별점검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 오존(O₃)은 대기 중에 이산화질소(NO₂)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존재하고, 여름철 햇빛이 강할 때 광화학반응으로 생성된다.

 

 민관 협력운용팀은 드론 민간조종사 1인과 환경청 담당자 3인(연구사 1인 + 전문 연구원 2인) 포함 4인 1조로 총 8팀이 구성되어 산업단지 및 주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배출사업장을 점검한다. 7월 26일~8월 6일 2주간은 국내 주요 석유화학 산업단지가 위치한 울산지역을 대상으로 합동점검을 실시하고, 8월 7~31일은 지방환경청별 관할지역 주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중점 점검을 수행할 예정이다.

 

 민간드론협회에서는 환경청별 드론 조종사를 파견하고, 환경청·지자체의 드론 전문 운영인력 대상으로 현장 교육을 실시한다. 또한, 드론 정기 점검을 통한 성능 유지를 위해 측정모듈 제작업체와 협업할 예정이다. 현재 모듈을 통해서는 PM 2.5, O₃, NO₂, TVOC(총휘발성유기화합물)을 측정하고 있다. 

 

 이와 협력하여 환경청에서는 관할구역 대기배출원 조사 비행계획을 수립하고 드론 운영 인력 및 장비를 지원하며,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장비운영 기술 지원 및 드론 측정결과 분석에 협조할 것이라 발표했다.

 

 김승희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이번 ‘무인기 운영 민·관 협력체계’ 운영결과를 평가하여 올해 12월부터 시행될 예정인 제3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21.12월~'22.3월)에 무인기를 활용한 미세먼지 사업장 지도·단속 효율성을 개선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