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의 사각지대였던 정신병원·시설, 집단감염 대응체계 재정비
보건복지부는 코로나19 대응 초기부터 정신질환자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국립정신병원을 중심으로 대응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정신질환자중 코로나 확진자들은 일반 확진자와 비교해서 코로나19와 정신질환 치료 병행이 필요(내과계+정신과 협진)하고, 많은 인력 소요되며, 확진자 치료 후 격리해제 되어도 입원 지속 필요 등 일반환자와 또다른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립정신건강센터가 현장 초동 조치와 자원관리 등 상황관리를 담당하고, 국립공주·부곡·나주·춘천병원이 각각 역할을 분담하여 전방위적 대응과 협력을 하고 있다.
정신병원·시설에 집단감염이 발생하면 중수본 “정신병원‧시설 대응반”이 현장에 출동하여 방역 당국과 협력, 확진자에 대한 조치를 시행하고, 코호트 격리의 위험도를 낮추기 위하여 접촉자 분산 조치를 실시한다.
우선, 무증상·경증 확진자는 정신질환자 전담 치료 병상으로 신속히 이송하고, 중증 또는 기저질환자는 감염병 전담병원 등에 이송한다.
확진자중 무증상이나 경증의 환자를 위해 국립정신건강센터 80병상, 마산병원 80병상, 음성성모 100병상이 운영중이며, 중등증환자나 기저질이 있는 환자에 대해서는 청주의료원 폐쇄병동을 전담병상으로 60병상을 준비 중이라고 복지부는 밝혔다.
더불어 확진자 전원과 동시에 접촉자 등 입원환자 소산 대상도 결정하여 국립공주병원(35병상)과 부곡병원(50병상) 등에 분산 이송하고 있다.
또한, 전담 치료 병상의 빠른 순환을 위해 국립나주병원(90병상), 국립춘천병원(42병상)에서 격리해제자를 위한 병상을 운영 중이다.
지난해 12월 15일부터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시작된 정신병원 집단감염은 1월 6일 기준 총 6개 병원에서 누적 339명이 확진되었다.
현재, 신속한 병상배정과 무증상 격리해제자의 빠른 전원으로 최적의 전담 치료 병상 회전율 유지하고 있으나, 연쇄적인 정신병원·시설 집단감염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병상 마련이 중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민간 정신병원을 대상으로 “지역별 코로나19 정신병원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입원환자 전원 병상, 격리해제자 병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관련 협회 및 단체를 통해 각 지역별 정신병원 네크워크를 구축하고, 확진자 발생에 따라 조치가 필요할 경우 서로 협력하여 입원 환자를 신속하게 분산 전원하게 된다.
네트워크 병원이 코로나19 발생 병원의 입원환자나 격리해제자를 받을 경우에는 감염·예방관리료, 격리실 입원료 등 산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민간 병원이 코로나19 대응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복지부는 전했다.
코로나19 증상이 악화된 확진자와 중증 환자의 원활한 전원을 위해서는 국립정신건강센터와 상급종합병원 간에 전원의뢰 소통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정신병원‧시설 종사자의 선제적 검사, 확진자 발생시 조치 요령 등 병원‧시설의 특별방역방역 점검 등 집단감염 예방 활동을 강화하고, 확진자 발생시에 정신병원·시설 종사자가 즉시 조치해야 할 대응요령을 숙지할 수 있도록 “정신건강증진시설 확진자 발생 대응지침”을 마련하여 배포할 예정이다.
집단감염 발생시 확진자 및 접촉자를 신속하게 이송하여 정신병원·시설의 추가 감염의 위험도를 낮추고, 격리해제 정신질환자 병상을 확보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한다면, 연쇄적인 집단감염 확산 방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복지부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