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화학물질 사고대응 전문소방관 양성한다
대응 수준별 유해화학물질 사고대응능력 평가 인증제 도입
유해화학물질 사고대응
대원평가 인증제 도입
소방청(청장 신열우)은 2021년부터 유해화학물질 사고대응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대원평가 인증제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 유통 중인 7천여 종의 유해화학물질 관련 사고가 발생할 경우 물질의 성상에 따라 폭발이나 누출로 인한 2차 피해가 우려되며, 각 물질별로 특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대응요령이 적절하지 못하면 사고수습이나 피해방지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유해화학물질 사고대응능력에 대한 평가는 화재대응능력 및 인명구조사 자격 인증제의 평가 항목에 포함해 운영했지만 내년부터는 이를 별도로 분리하여 인증제를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인증방법은 초기대응과 전문대응으로 사고 대응수준을 세분화해 1급과 2급으로 구분해 실시한다.
유해화학물질 사고대응능력 2급(초기대응과정)은 2021년부터 신규로 임용되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사고유형과 위험성 분석, 초기대응 계획 수립과 방어적 대응, 제독 수행 등을 교육하고 평가한다. 중앙소방학교와 3개 지방소방학교(부산, 경기, 충청)에서 시설과 인원을 고려하여 14∼21시간동안 교육을 각 진행하며 2021년 인증목표는 500명 정도다.
구체적으로 위험물질 사고대응 초기대응과정(Ⅱ급)은 ▲위험물질 잠재위험 확인 및 비상대응 훈련, ▲현장 위험성 분석(컨테이너 등 차량 식별), ▲개인보호장비 착용능력 평가. ▲방어적 대응활동 및 제독임무 수행 등으로 이루어진다.
1급(전문대응과정)은 현직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며 화학특채자와 구조대원을 우선으로 위험물질 누출차단, 물질 탐지, 탐지장비 운용 등에 대하여 1주일간 집중교육을 한 다음 평가하며 교육인원은 연간 250명이다.
위험물질 사고대응 초기대응과정(Ⅰ급)은 ▲위험물질 누출차단, 물질 탐지, 제독 등 사고 초기현장 대응역량 향상, ▲위험물질의 특성 및 잠재위험, 비상대응 계획을 통한 상황대처 능력강화, ▲위험확산 예측, 탐지장비 운용, 공격적 대응, 제독수행 등으로 이루어진다.
교육 내용은 이론 30%, 실기 70%로 장비착용부터 위험물질 차단, 제독소 설치까지 모든 단계에 실기 훈련을 포함시켰다.
또한 전문인력 교수요원을 확충하기 위한 교육과정도 운영한다. 중앙소방학교 등 4개 기관에 전문교관 양성과정을 개설해 유해화학물질 분야 국외 훈련자, 화학특채자 등을 대상으로 내년 중 70여명의 교관을 양성해 전체 100명 정도의 교관단을 운영할 계획이다. 추가 설명으로 교관단은 전국 소방학교 및 소방서에 근무하는 소방공무원으로 현재 29명이 구성되어 있다.
신열우 소방청장은 첫 해 운영 결과를 분석해 교육과정을 고도화하고 다양한 상황별 실기훈련이 가능하도록 시뮬레이터도 확대 및 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