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트컨베이어에 협착되어 발생한 사고사례

2020-12-07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편집국

 작년 2월말경에 ○○시 소재 ○○제철(주) 원료공장 내에서 협력업체 소속 피재자가 벨트컨베이어 정비작업 중 바로 옆에 위치한 가동 중이던 벨트컨베이어에 끼여 사망한 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유사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고의 원인을 살펴보고, 안전예방활동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자료출처-고용노동부 천안지청 이근배근로감독관 자료제공

 

재해 발생 원인

 ○ 작업자 통행로 조도 미달
  - 작업장 주요 지점의 조도 측정결과 통로의 조명 기준 75 lux에 미달

 ○ 분진 흩날림 및 퇴적으로 안전한 작업환경 미확보작업계획서 미작성
  - 원료 이송 컨베이어에서 석탄, 철광석 등 분진이 흩날려 시야가 어둡고, 바닥에 퇴적된 분진으로 작업자 이동 시 분진이 날림

 

재해 예방 대책

 ○ 작업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통로 적정 조도 유지
  - 작업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통로에 75럭스 이상의 채광 또는 조명 시설을 설치하여 적정 조도가 유지되도록 하여야 함

 ○ 분진 제거 등 작업환경 개선
  - 작업장의 바닥은 퇴적 분진 등으로 작업자가 이동 시 분진이 날리거나, 넘어지는 등의 위험이 없도록 주기적인 청소 등 항상 청결하게 유지 ․ 관리하여야 함

 

안전은
아는 만큼! 실천하는 만큼!
지켜낼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고용노동부 천안지청 산재예방지도과」 이근배 근로감독관님의 제보내용입니다. -

 

안전한 작업장을 위해 애쓰시고 계신 모든 근로감독관님들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