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축기 내부 청소하던 작업자 사망… 전원 차단 없이 작업하다 참사

2025-11-21     최유정 대학생 기자
ⓒ중대재해사이렌/출처-고용노동부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지난달 24일 오전 7시 20분경, 경기 김포시의 한 고철 판매 사업장에서 고철 압축기 내부 이물질 제거 작업을 하던 40대 작업자가 기계에 끼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조사에 따르면 작업자는 내부 이물질을 손으로 제거하던 중 갑작스럽게 설비가 작동하며 치명적 끼임재해로 이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 당시 전원 차단 미실시가 직접적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번 사고는 정비·청소·이물질 제거처럼 설비 가까이에서 수행되는 비정형 작업의 위험성을 다시 한번 보여준다. 압축기·프레스·롤러류 장비는 잔류 에너지가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고, 외부 조작 없이도 재가동 위험성이 존재해 작은 움직임에도 즉시 중대재해로 이어질 수 있다. 

 

 

끼임재해란?

끼임재해는 두 물체 사이의 움직임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움직이는 부분들 사이, 움직이는 부분과 고정 부분 사이에  신체 또는 신체의 일부분이 끼이거나, 물리거나, 말려 들어감으로 인해 발생하는 등 다양한 위험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대표적인 핵심 위험 요인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기계·기구의 동력전달 회전부가 노출되어 있을 경우 작업자가 직접 접촉할 위험이 높아져 심각한 재해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부에 설치된 방호덮개나 안전장치가 해체된 상태에서 기계를 가동하면 보호 기능이 상실되어 사고 위험이 급격히 증가한다. 여기에 정비, 수리, 급유, 청소와 같은 비정형 작업을 수행하면서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지 않을 경우, 예기치 않게 기계가 작동해 끼임이나 절단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위험들은 모두 현장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전형적인 사고 요인으로, 사전 확인과 철저한 절차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위험점의 형태에 따라 협착점, 끼임점, 물림점, 접선물림점, 회전말림점 등으로 구분되며, 공통적으로 작업자가 기계와 가까운 거리에서 작업할 때 즉시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실제로 비정형 작업 중 발생한 다수의 중대재해는 이러한 위험요인이 통제되지 않았을 때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협착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LOTO

ⓒ잠금장치(Lock Out Tag Out) 작업절차/출처-안전보건공단

“Lock-Out, Tag-Out”의 줄임말로, 정비·청소·수리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해당 기계의 운전을 정지한 후, 다른 사람이 그 기계를 운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동장치에 잠금장치를 하거나 표지판을 설치하는 등의 조치를 의미한다. 

 

기계·설비를 정비하거나 청소·수리하는 과정에서는 예상치 못한 재가동 위험이 항상 존재한다. 특히 안전장치를 제거하거나 일시적으로 사용을 중지해야 하는 작업, 기계가 작동하는 동안 위험 구역 근처로 신체가 접근해야 하는 작업, 또는 오조작으로 인해 설비가 갑자기 움직일 수 있는 작업은 모두 높은 위험성을 갖는다. 이러한 비정형 작업에서는 작업자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직접적인 조치가 필수적인데, 그 중심에 놓여 있는 것이 바로 LOTO 작업절차다.

 

ⓒ잠금장치(Lock Out Tag Out) 작업절차/출처-안전보건공단

LOTO 절차는 작업 계획과 사전 고지를 시작으로 설비의 운전을 완전히 정지시키고, 전원과 에너지를 차단하는 단계로 이어진다. 이후 잔류 에너지가 남아 있는지 확인한 뒤 잠금장치와 태그를 부착해 누구도 설비를 임의로 가동할 수 없도록 한다. 이 조치가 완료된 후에야 작업을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작업 종료 후에는 LOTO를 해제하고 정상 운전 상태로 복구하는 절차가 뒤따른다.

 

결국 LOTO는 예기치 않은 설비 재가동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안전수단으로, 비정형 작업에서 작업자의 생명을 지키는 데 반드시 필요한 핵심 절차로 평가된다.

 

LOTO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설비의 에너지원과 구조에 맞는 잠금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현장에서는 전기 차단을 위한 브레이커 잠금장치, 기동 스위치를 고정하는 잠금장치, 공압·유압 라인을 차단하기 위한 전용 장치, 다양한 설비에 적용할 수 있는 케이블형 잠금장치, 밸브 조작을 막는 볼밸브 잠금장치 등이 주로 사용된다. 여기에 자물쇠와 해스프, 그리고 작업 중이라는 사실을 명확히 알리는 LOTO 태그(Tag)가 함께 구성된다.

 

이 장비들은 설비의 에너지원을 물리적으로 고정해 예기치 않은 재가동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결국 작업자의 생명을 지키는 필수적인 안전 장치로 기능한다.

 

 

LOTO 비용 지원 사업

ⓒ잠금장치(Lock Out Tag Out) 비용 지원/출처-안전보건공단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은 끼임사고 예방을 위해 중소 사업장 대상 ‘LOTO(에너지 차단) 지원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지원 내용은▲전원차단 장치·잠금장치·표지(Tag) 등 장비 구입비 지원, ▲설비별 맞춤형 LOTO 절차서 제작, ▲현장 컨설팅 및 교육 제공 등을 포함한다.

 

정비·청소·이물질 제거 등 비정형 작업이 많은 업종을 중심으로 지원이 강화되고 있으며, 예산 확보가 어려운 소규모 사업장에서도 기본적인 에너지 차단 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돕는 사업이다. 현장에서는 이 사업을 통해 도입한 장비와 절차를 표준화해 비정형 작업 중 반복되는 재가동 사고를 예방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이번 사고는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정비·청소 작업이 얼마나 높은 위험을 동반하는지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기계 내부에 손이 닿는 순간, 작은 오작동이나 예상치 못한 움직임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에너지 차단 절차인 LOTO는 복잡한 기술이라기보다,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기본적인 과정에 가깝다. 그럼에도 현장에서는 ‘잠깐이면 되겠지’ 하는 익숙함 속에서 이 절차가 간과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번 사고가 비슷한 작업을 하는 현장에서 LOTO의 필요성을 다시 돌아보고, 일상적인 작업 속에서도 안전 절차를 꾸준히 지켜나가는 계기로 이어지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