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스마트 안전장비 확대·노동자 면담 의무화
정부 대책 발표 이어…공단, 세부 실행계획 확정 전국 기관장 회의 개최… 스마트 안전장비 확대 등 ‘노동안전 종합대책’ 실행 총력 서류 아닌 현장으로…모든 기술지원에 '노동자 면담' 의무화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안전보건공단(이사장 김현중, 이하 공단)이 정부의 『노동안전 종합대책』을 현장에 안착시키기 위해 '현장 중심'의 정책 실행에 총력을 기울인다. 특히 앞으로 모든 기술지원 사업에 ‘노동자 면담’을 의무화하여 정책의 실효성을 대폭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공단은 지난 22일 경기도 광명시에서 김현중 이사장과 전국 31개 기관장이 참석한 가운데 ‘전국 기관장 회의’를 개최하고, 정부 종합대책의 세부 실행 방안을 확정했다.
이날 회의에서 공단은 ▲소규모 사업장 안전역량 향상 ▲외국인 노동자 등 산재 취약계층 지원 ▲스마트 안전장비 확대 ▲안전의식 확산 등 4대 핵심 과제에 대한 구체적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현장 작동성 강화… 노동자 면담 의무화
특히 공단은 하반기 산재 사망사고 감소의 변곡점을 마련하기 위해, 정책이 서류상에 그치지 않고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는지에 집중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공단은 모든 기술지원 사업 시, 사업주뿐만 아니라 현장 노동자와의 면담을 의무적으로 실시하여 실질적인 위험 요인과 정책 이행의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지역별 사고 사망 감소 목표를 별도로 설정해 책임 있는 관리에도 나선다.
스마트 안전장비 확대의 필요성
이번 종합대책의 핵심 과제 중 하나는 '스마트 안전장비 확대'다. 스마트 안전장비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실질적인 재해예방 효과가 있는 안전보건장비를 말한다. 공단이 스마트 안전장비 확대에 주목하는 이유는 명확하다.
첫째, 인간의 실수를 기술로 보완해 '불안전한 행동'을 사전에 막을 수 있다. 추락 사고를 예방하는 안전대는 중요하지만, 작업자가 안전고리를 체결하지 않는 실수를 막지는 못한다. 하지만 스마트 안전대는 고리 미체결 시 즉시 경보를 울려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행동 자체를 통제한다.
둘째, 소수의 관리자가 넓은 현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도록 돕는다. 관리자가 모든 위험 요소를 직접 파악하기는 불가능하지만, 스마트 관제 시스템은 현장의 모든 위험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눈과 귀의 역할을 한다.
중소사업장 대상 지원사업 추진
이에 공단은 자금과 정보가 부족한 중소사업장을 위해 '스마트 안전장비 지원사업'을 통해 도입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고 있다. 상시근로자 50인 미만 사업장 등이 주요 지원 대상이며, 자세한 내용은 안전보건공단의 안전보건 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현중 이사장은 “우리 공단은 전사적 종합대책 이행을 통해 반드시 산재 감축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며, “산재예방이 노·사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는 의식을 확산하고, 현장 중심의 대책 이행으로 올해가 산재 사망 근절의 원년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