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터에서 사고예방을 위한 Human Error 원인 들여다 보기(3)

2020-11-17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편집국

 

휴먼에러 예방 디자인

(Designing for People)

 1) 인체공학적 디자인(Ergonomic design)


①업무와 장비의 인체공학적인 만족도 평가
- 작업자 신체 사이즈(인체측정학 관점)에 적절한가?
- 또 다른 사용자(universal design)에게도 적절한가?
- 작업자 필요 시 쉽게 듣고, 볼 수 있는가?
- 상황이나 작동상태에 대한 모든 정보를 이해할 수 있는가?
- 자주 발생하는 에러상황에 대하여 확인과 수정이 용이한가?
- 장시간 사용시 불편함을 야기하는 장비나 시스템은 아닌가?
 

ⓒ자동차 운전석과 Gear 조작기능 인체공학 디자인 개념 적용사례

- 사용하기에 누구에게나 편리(convenient)한가?
- 사용법 배우기(인지성, 접근성, 업무 수행조건 등)가 쉬운가?
- 사용시에 다른 시스템과 양립성(compatible)은?
- 너무 빠르거나 느린 동작의 조작 또는 힘 부하는 아닌가? 
- 불편한 자세나 팔을 뻗는 동작이 없는 사용 범위의 조절이 용이한가? 
- 동작 또는 조작 자세에서 안전하게 이동 또는 조정이 가능한가?
- 작업장 근무환경(작업수행 여유공간, 소음, 진동, 냄새, 조명, 환기 등)은 쾌적한가?
- 육체적 또는 정신적 스트레스 부하는 있는가?
- 상기 내용에 대한 일련의 개선 조치는 가능한가?


②인체공학적 디자인 제어(Control) 변수 
- 크기 : 작업자 신체조건, 무게와 부피, 작업대상 조작(동작) 범위 
- 무게 : 사용자 힘 부하 및 위치 관련성, 운반/적재작업 
- 불편함 : 사고예방, 기능조작 힘과 기능 부하 
- 피드백 : 사용자의 지각과 인식, 작업방법/순서 기억 
- 감촉과 질감 : 미끄러짐, 손잡이 형태, 눈부심 관점 
- 색상 : 사용자 가독성 또는 기능 구분에 대한 차이 
- 디자인 : 쉽게 구분 또는 조작 가능한 단순형태 디자인 
- 기능 : 접촉 질감에 따른 기능수행 
- 업무효율성 : 인체측정학 관점에서 동작 효율성 
- 배치(위치) : 동작수행과 인지 관련 배치, 위치 적절성 
- 양립성 : 기능수행과 비상조치 측면 표식과 제어 기능
- 사용방법 : 공통의 정형화된 기능조작 사용방법 

ⓒ작업장 작업자 위치, 작업조건, 도구 배치, 기능조작과 역할구분 등 디자인 Layout

2) 심리적 편안함(안녕) 위한 업무디자인(Designing jobs for mental well-being)

①스트레스 원인(Source of Stress)
- 업무 환경적 요인(높은 소음, 부적절한 환기상태, 불편한 작업조건, 장시간 근무, 
단순반복동작, 중량물 취급작업(MMH), 통로 지게차 이동 등 위험작업 등)
- 조직에서 의무와 역할의 모호
- 직장동료와 지지 도는 상호작용, 보스와의 관계, 동료와의 불신과 소통부재
- 직업안정성, 잉여 인원의 해고 두려움, 조직의 퇴직 권고, 경기불황
- 참여기회 또는 조직소속감 결여(소외, 왕따 등)
- 불편한 인적 노동환경(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갈등, 업무량, 연봉 등)


②개인차(Individual differences)
- 조직과 업무에 대한 개인적 특성 차이(태도, 능력, 개성 등)
- 동일 상황에 대한 다른 방식의 행동/만족도 차이 
- 업무와 작업자 사이의 적정성은 심리적 안녕의 인식에 중대한 영향 
- 업무 만족도와 불만족도는 사람간의 변수가 있다.

 

③업무디자인 개선방안(Improving job design

- 업무 순환, 재배치
- 수평적 업무확대
- 수직적 업무확대
- 업무 강화
- 자율적 업무 그룹 형성
- 근로자 동참 및 참여 유도
- SDCA, PDCA 접목

 

3) 업무절차서(Writing Procedures)

①업무절차서 요건
- 업무절차서에 대한 접근성? 
- 스태프에 의한 실질 수행 조건인가? 
- 쉽게 이해하고 적용하도록 작성되었는가?
- 실질적인 업무 실행조건이 반영되었는가?
- 업무절차서에 안전보건 정보 기능이 포함되었는가?
- 수시로 재검토와 업데이트가 되고 있는가?


②업무절차서 구성 요건
- 정확하게 완결 
- 적절수준의 상세하고 명확한 의미 포함
- 항상 업데이트
- 교육/훈련 용도로 지원 가능
- 위험성 인지 가능
- 위험사항의 선행주의 언급
- 표기방법의 난해성 배제
- 동일한 의미 단어 사용
- 실질 업무실행조건 반영
- 사용자의 사용편리성 향상
- 적절한 형태 구축과 접근성

 

③좋은 업무절차서 구성
 - 업무추진 어려움과 업무중요도 서류화 등 고려 
 - 업무수행 실행과 잠재위험의 찾기
 - 작업자가 필요한 정보수준과 업무절차서 사용 조건 고려
 - 업무수행 기술, 경험수준 과거 훈련과 업무절차서 사용자의 필요성 수립
 - 효과적 사용과 이해도 증진을 위한 훈련의 지지에 필요한 업무절차서 관찰 

 

 

4) 최대 효과 위한 경고(주의) 디자인(designing warnings for maximum effect)
①경고 서비스 목적
- 생산 현장에서 위험성에 대하여 누군가(작업자 또는 관리자 등)에게 경고(주의) 
전달
- 잘못된 행위의 결과와 위험상황(물질)의 잠재 심각성을 명기
- 예방적 행동의 성취를 위한 명기

②경고에 대한 대응
- 경고에 대한 인지는 80% 이상
- 경고에 대한 이해는 60% 이상
- 경고에 대한 대응은 30% 이상

ⓒ경고에 대한 대응

③경고에 대한 작업자의 대응 경향
- 심각한 상황의 발생에 대응하지 않은 위험성 인식
- 결과에 따라서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리라고 믿음
- 생산현장에서 무관심 상황
- 경고에 대응하는 주변 사람들 관망
- 작업자들의 손에 밀착되는 보호구의 필요성 쉽게 대응
- 실질적인 작업자 이득 사항에만 대응한다고 믿음

 

5) 작업자 신뢰성 평가(Human Reliability Assessment, HRA)
 ①작업자 신뢰성 평가 단계
- 평가범위 결정
- 사실에 기반한 정확한 정보수집 
- 수행업무와 절차 기술
- 휴먼에러 과정과 원인 명시
- 휴먼에러 확률 평가
- 시스템 분석자에게 정보 제공
- 관리대책의 추진과 전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