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 민간이 나선다”… 산업안전상생재단, 중대재해 감축 위한 협력 거버넌스 출범
- 건설안전 제도개선 위한 6개 기관과 업무협약… 실효성 있는 정책 마련 본격화
[세이프티퍼스트닷뉴스] 산업현장의 고질적인 재해 문제 해결을 위해 민간이 직접 협력 거버넌스를 출범시키고 제도 개선에 나섰다. 산업안전상생재단(이사장 안경덕, 이하 재단)은 지난 22일 현대건설 본사에서 건설안전 관련 6개 민간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건설업 중대재해 감축을 위한 민관 협력 기반의 정책·제도 개선 활동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건설안전임원협의회 ▲전문건설안전보건협의회 ▲종합건설업 KOSHA-MS 협의회 ▲한국안전학회 ▲한국건설안전학회 등 건설 안전 분야 주요 기관들이 참석해 공동 대응 의지를 다졌다.
이번 협약은 최근 건설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온 정책과 현장 사이의 괴리를 해소하기 위한 민간 주도의 첫걸음이다. 특히, 제조업 중심의 안전관리 제도가 건설업의 특수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에 따라, 보다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업계와 전문가들의 공감대가 반영됐다.
재단은 협약을 통해 ▲건설안전 정책·제도 개선을 위한 공동 연구 ▲현장 공청회 및 토론회 개최 ▲정부기관 및 국회 대상 정책건의 ▲중소 사업장 대상 안전관리 우수사례 보급 ▲국제 안전세미나 공동 개최 ▲국민 참여형 안전문화 캠페인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협약은 제도 설계 단계에서부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겠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재단은 각 협의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건설현장의 실제 운영 조건에 맞는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중소 건설사의 안전보건 역량 강화를 위한 실질적 지원책 마련에도 집중할 방침이다.
안경덕 이사장은 “이번 협약은 건설업의 고질적인 중대재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민간의 자발적 대응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며 “산업안전상생재단은 앞으로도 실효성 있는 정책과 제도 개선을 통해 현장 중심의 안전문화 정착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산업안전상생재단은 현대자동차 그룹 6개사의 출연으로 설립된 국내 최초 산업안전보건 전문 공익법인이다. 재단은 ▲중소기업 맞춤형 안전관리 프로그램 ▲스마트 안전장비 및 컨설팅 지원 ▲안전교육 아카데미 운영 ▲안전보건 인재 양성을 위한 장학사업 등을 통해 중대재해 예방과 안전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